아파트 관리비는 어떤식으로 계산이 되는건가요?
뉴스에 보니 아파트 관리비 부정비리가 많이 나오던데요. 부정비리라는게 어떤식으로 관리비가 부정하게 청구가 되는것인가요? 계산법을 몰라서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관리비 관련한 부정비리는 입주자에게 부당한 비용을 청구한 경우보다 모아진 관리비에 대한 사용상 비리가 더 많을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적립된 장기수선충당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하였다거나, 시설설비에 대한 하자보수등을 진행하면서 특정업체가 참여할수 있도록 선정방식이나 방법을 편파적으로 진행해 선정후에 뒤로 리베이트를 받는다는 등의 식의 비리가 많습니다. 있다면 관리자가 허위로 청구서등을 작성하거나 실제 사용되지 않는 서비스에 대해 대행업체 의뢰한것등으로 꾸며 관리비상 항목으로 청구하는 방식이 대부분인것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 적발가능성이 높기에 이러한 행위는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소장등 관련된 이들이 협력하지 않는인상 개인이 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항목으로 구성되며,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 에서 전국 아파트의 관리비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공용관리비는 청소비, 경비비, 소독비, 승강기 유지비,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유지비, 난방비, 급탕비, 수선유지비,
개별사용료는 전기료, 수도료, 가스사용료, 지역난방비, 정화조오물수수료, 생활폐기물수수료, 공동주택단지 건물 전체 보험료, 입주자대표회의 운영비, 장기수선충당금은 아파트의 주요 시설을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적립하는 비용입니다.
아파트 관리비 부정 비리 유형으로는 관리비를 개인적으로 횡령하여 사용하는 행위, 필요 이상으로 관리비를 과다하게 청구하는 행위, 업체 선정 과정에서 입찰 비리를 저지르는 행위, 공사비를 부풀리거나, 무면허 업체에게 공사를 맡기는 행위, 입주자대표회의가 관리비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행위입니다. 부정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입주민들이 아파트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관리비 사용 내역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관리비는 세대가 사용한 전기나 온수등은 검침을 통해서 나온 수치 만큼 부과를 하게 되는데 예전에는 이러한 것들은 조작을 해서 난방비 비리가 성행을 한적이 있었고 아파트의 공용 공간(엘리베이터, 복도 등)의 유지 보수 비용이나
공용 부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비용, 공용 공간 청소를 위한 비용, 놀이터, 체육시설 등의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등은
세대별로 나누어서 징구가 됩니다.
그리고 세대별로 매달 관리비를 볼 수 있고, 이의가 있을 경우 관리실에 문의를 하면 되고, 일정규모 이상의 세대일 경우
주기적으로 감사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