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회사 생활

내가제일대가리
내가제일대가리

직장인분들 회사에서 있는 시간이 몇시간정도 되세요?

요즘 회사에있으면서 현타가 자주옵니다.

저희회사는 회사특성상 잔업이 많습니다.

아침 8시까지 출근해서 밤10시까지 일을합니다.

근데 막상 업무강도는 빡세지는 않아요.

이렇게 일을하고 한달 실수령액을 240정도 받아요.

근무시간이 이렇다보니 내 개인시간이 거의 없어요.

진짜 집~회사은 반복입니다.

다른분들은 회사에 있는시간이 어느정도 되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1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민머리
    민머리

    08시출근22시퇴근이면 14시간을 회사에서 계신거네요.

    너무 많은 시간을 직장에서 보내시는것같아요.

    24시간중 절반을 보내십니다.

    저는 09시출근에 18시 퇴근입니다.

    9시간을 회사에있는데 이것도 정말 죽을 맛인데 고생많으시네요.

  • 무슨 회사에서 14시간을 있을수있나요?

    이건 노동청에신고할법한 근무시간인데요.

    그리고 일한거에 비해서 월급이 너무 적은것같습니다.

    저도 많은건아니지만 9시에출근 6시에퇴근하는데 350은 받고있습니다.

  • 저 같은 경우 하루 회사에 머무는 시간은 보통 9시간 정도 입니다. 물론 일이 많고 바쁜 경우 2시간 정도 연장을 하기도 합니다. 질문자님은 지금 회사 근무시간이 너무 오랫동안 머무는 것으로 개인적인 시간이 없을 수 밖에 없는 거 같습니다.

  • 저도 집회사의 반복이기는 하지만 9시부터6시까지 근무를 합니다.

    간혹 바쁜기간에는 야근을하긴하지만 그렇게 자주하지는 않아요.

    님처럼 일하고 240을 받으면 문제있는것같은데 노무사와 상담을 해보세요.

  • 모두 행복하세요 난오전7시 출근 24시간 일하고 다음날 같은 시간에 교대합니다 각자 다른 환경에서 근무하시니까 조건도 급여도 일하는 시간도 다르겠지요 일하는곳이 즐겁게 일하고 본인이 행복하면 최상의 조건이지요

  • 월요일에서 금요일은 오전9시부터 오후6시까지 근무를 하고, 토요일은 오전9시부터 낮12시까지 근무를 합니다. 일요일과 공휴일은 쉽니다.

  • 저는 회사는 아니고 자영업입니다 비수기 기준 11시간~12시간

    성수기 기준 15시간 있습니다

    물론 하루 기준입니다

    성수기때는 디질거 같아요 ㅠ

    근데 14시간에 실수령 240이면 일이 편하신가보네요

  • 저희회사도 그렇고 일반적인 회사들은 9시 출근6시 퇴근을 합니다.

    점심시간1시간을 제외하고는 8시간근무해요.

    근로기준법에 나와있는부분입니다.

    잔업을 그렇게 계속 하시는데도 월240이라면 근무환경이 열악한 회사인것같습니다.

  • 전 오전 9시30분~오후 9시

    공식적인 계약 시간입니다.

    보통 30분 일찍 출근합니다.

    가끔 늦게 퇴근할때면

    추가 수당 있습니다.

    국경일, 대체휴무 없습니다.

    주 6일근무 일요일만 휴무입니다.

    유일하게 설, 추석 3일휴무~

    그래도 사는게 즐겁습니다. ^^

    오늘도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 회사에서 14시간 있으면 평일에는 거의 회사 집 수준인데요.

    이렇게 근무하면 법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최저 시급 적용해도 월급 240만원은 턱없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 저는 회사에 9시까지 가서 6면 퇴근을 하려고 합니다.

    웬만큼 바쁘지 않으면 잔업은 최대한 하지 않으려고 하거든요

    한달에 많으면 야근을 10시간정도 하긴 하지만 최대한 정시출근 정시퇴근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 직장인들은 회사에 있는 시간이 많을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저는 특별한 날이

    아니고는 거의 9~6시면

    퇴근 합니다 그러나 출퇴근시간 왕복 2시간 입니다

    벅찬 시간이지요 이래저래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어쩔수 없습니다

  •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9시부터 6시까지 있습니다. 출근은 한 20분정도 먼저 도착하구요 6시에도 일이 안끝나면 야근까지 하다갑니다.ㅜㅜ

  • 안녕하세요
    저는 전기 공사업체에 다니는 직장인입니다. 저희는 직업 특성상 이동도 많고 현장직이라 아침 일찍 출근합니다. 보통 집에서 나오는 시간이 아침 6시입니다. 운전해서 현장 도착하면 보통 8시 조금 넘더라구요 그렇게 작업 시작해서 잔업이 있는날에는 저녁 8시까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게 4시 반쯤에 작업 완료하고 집으로 귀가합니다.

  • 일의강도에따라다르겠지만

    14시간일하고 세후240이시면

    완전편한일이 아니시라면 너무 적으신것같아요.

    개인시간 갖기도힘드실텐데....

  • 저의 경우에는 8시 30분 출근에 5시 30분 퇴근입니다.

    9시간 직장에 있는 시간이 보통이고 조금 잔업을 한다면 12시간 정도 근무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12시간요 현장직들은 거의 다 이런듯요

    집에 있는 시간보다 회사에 있는 시간이 긴 건 사기실이니까ㅏ요 ㅠㅠ 우리 파이핑합시다 서로

  • 딱 8시간만 일했어요 대신 일요일에 추가수당없이 일년에 3달 일하긴 했는데...한도 끝도 없이 그렇게 오래 계시면 장기적으로 몸이 남아나시나요?

  • 14시간을 회사에 계신다니... 너무 오랜시간을 보내시는 거 같아요. 아무리 업무강도가 낮더라도.. 저라면 이직하시는 걸 추천드려요..ㅜㅜ

  • 일반적으로 회사근무시간은 8시간입니다만, 업무상 실이있을때는 더 많이 있는경우도 있습니다

    업무량에따라서 불규칙적인데 그게 맘대로 할수있는게아니네요

  • 8시 풀근 7시 30분 퇴근입니다. 그래도 나름 대기업생산직이라서 연봉은 좋은데 너무 반복적인 일만 하는 경우가 많아서 너무 의미가 없네요. 그래도 삶이 그런거니 화이팅입니다.

  • 회사가 모두 같지는 않으니 회사마다 근무시간이 틀립니다ㆍ보통은 8시간 정도가 기본입니다ㆍ일단 회사에 출근하면 거의가 시간을 회사에 몰입하게 됩니다ㆍ그래서 자기 시간이 없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중소기업 다니고 계신가 봐요

    저도 중소 다니는데 실제 근무시간은 점심시간 제외한 8시간 근무 하고 있습니다.

    작성자분 같은 경우

    점심 저녁 시간을 제외하고도 하루 3시간씩 잔업을 야고 계시는데 240이라니....

    연봉이 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한달기준 20일 근무로 잡으면 매월 60시간 추가근무인데

    최저로 시급으로 계산 해도 1.5배 90만원

    기본급+90이 세후 240이면

    최저시급도 안나오는 상황이니 노무사한테 상담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른곳에서 근무해도 이것보단 많이 받을듯하네요....

  • 안녕하세요

    회사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은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근무강도가 낮다고 하시니 본인만 만족한다면 상관없지요

    원래 업무강도가 강하면 돈은 많이주고 업

    무 강도가 약하면 덜 주긴해요

    그래도 근무시간이 많은건 사실이니 한번 스스로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연차에 비해 정당한 대우를 받고 있는지 계산해보세요

  • 저 같은 경우는 9시까지 출근해서 6시 퇴근이에요 시간으로 따지면 9시간이 되겠네요~

    물론 일이 좀 바쁠때는 야근을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6시 퇴근하는것 같네요

  • 하루14시간을 보낼려면 기본적으로 아침기상 시간이6시30분 정도되야 될것같은데요 퇴근하고 집 도착하면11시는 넘을것 같고 출퇴근하면서 경비 이것저것 빼고나면 박봉일거고 본인 시간도 없을것 같고 조금더 괜찬은 회사를 알아보심이 어떨까 조심스레 여쭤봅니다

  • 안녕하세요 탁월한테리어입니다 회사에 잇는 시간대비 실수령이 적은데 왜일까요 잔업수당은 따로 없으신지 이상합니다

    보통 8시에 출근해서 오후 5-6시에 퇴근하며 잔업이 있으면 잔업을하고 지속적으로 잔업을 하지는 않습니다

  • 기본적으로 10시간 있는듯합니다. 왔다 갓다 하는 시간도 있고 이것도 최소 시간이고, 사실 더 있으면 12시간도 넘게 있기도 하죠!!

  • 안녕하세요.

    해당 내용으로 보면 근무시간이 너무 긴대 비해 수당이 제대로 나오는게 아닌 것 같습니다.

    수당을 쳐주지 않으면 오래 일하는건 조금 힘들 것 같네요.

    점차 다른 곳으로 이직 준비를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 저도 월급쟁이입니다. 아침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입니다. 중간에 2시간 쉽니다. 일일 근무 시간이 8시간이라 초과시 수당이 발생하며 주 근무시간이 총52시간을 초과할시 노동법에 위배 됩니다.

  • 보통 8시간 이상 근무를 하지요. 작성자님께서는 8시부터 저녁 10시까지면 근무가 힘들지 않아도 늘 회사와 한몸이신것 같겠네요. 짬짬이 건강도 챙기셔야겠네요.

  • 안녕하세요.

    사회에 정직으로 출근하고 보통 9시출근이면 8시30분쯤 출근해서 6시 퇴근인데 일이 밀려 8~10시넘어야 퇴근 했었는데 요즘 MZ세대는 칼출근, 칼퇴근 이라 하네요.

    일있으니 30분 일찍 출근해라 하면 퇴근때 30분 먼저 퇴근한다 할만큼 야근 안한다 하네요.

    하지만 보통은 그렇게 못하고 일없으면 칼퇴하고 일이 남아있으면 알아서 야근하다 퇴근 하지요.

    쉽진 않지만, 혼자만 너무 야근이 반복되면 개인조정 하시고 안돼시면 팀장이나 윗분과 대화해서 조정해보세요.

  • 보통9시부터 오후6시 까지 근무를 합니다 회사마다 특성상 야근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때는 납품을 맞춘다고 새벽2~3시나 날밤을 지새우는 겨우도 있죠 해당분야에서 실무능력을 잘 키우셔서 근무환경이 좋은회사로 이직하세요

  • 정말 오랜시간 근무를 하시네요. 돈도 돈이지만 건강을 잃지 않으실까 걱정이 됩니다. 건강을 챙기지 못하면 모든 것을 잃는다고 하지 않습니다. 업무 강도가 강하지 않더라도 출근해 계시면 힘이 듭니다. 저는 하루에 점심시간 빼고 오전3시간정도 오후에 5시간 정도 일을 합니다.

  • 전 맞교대 아침 9시출근 다음날 9시퇴근이나 실제는 8시30분 출근 다음날 10시퇴근 .... 그래도 격일이니 그나마 시간은 있으나 어디 멀리 여행을 못간다는 벌써 16년째

  • 안녕하세요 전 회사는 아니지만 일용직 일하고 있습니다. 전 아침에 사무실 나가서 현장에 가서 일하고

    마치고 퇴근하면 아침 6시에서 저녁 5시에 보통 마치니까 12시간 넘게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 아침8시에서18시까지일하니 9시간이지만 점심시간빼면 총8시간 되겠네요 거기에10분휴식시간빼면 7시 간50분정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검소한늑대입니다.

    저는 08:20 ~ 17:40 까지 있습니다.

    9시간 조금 넘게 있네요.

    사무직이라 잔업은 아예 없고 31살에 실수령 310정도 입니다.

    그런데도 죽고싶고 사는게 답이 없다고 느껴져요.

    질문자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 09시부터 18시까지라 봤을때 특별하게 외근을 나가지 않은 이상 9시간은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는거 같습니다.

    물론 점심시간 기준 30분 앞당겨서 개인 용무를 보긴 해요

  • 저 같은 경우에는 하루에 10시간 정도 합니다. 주 5일인데 대부분 이렇게 일하지 않나 싶네요. 아침 7시까지 출근해서 17시 정도면 끝나는 것 같아요. 16시 30분 정도면 퇴근 준비하고 거의 이 시간대 비슷하게 퇴근합니다. 차가 막히면 하루종일 가야 하기에 조금 배려해주시는 것 같아요. 대신에 아침에는 무조건 일찍 나오기는 합니다. 시간대가 이때 일해서 끝내야 하는 일들이 있기에 아침에 조금 빡센것 말고는 괜찮아요. 나름 저녁있는 삶이기도 하구요.

  • 근무 시간만 보면 솔직히 노동법 위반 소지가 있어 보이긴 합니다. 하루 14시간이면 주 70시간인데, 이 정도면 사실 법적으로도 과한 편이에요.

    그런데 또 업무 강도가 세지 않다고 하시니, 이게 단순히 오래 있는 거냐 아니면 진짜 일로 꽉 찬 시간이냐에 따라 느낌이 좀 다를 것 같기도 하고요.

    그래도 이렇게 장시간 일하고 월 실수령 240이면, 솔직히 말해서 투자한 시간에 비해 수익성은 낮은 거죠. 개인 시간도 없고요.

    결국 시간 대비 보상 문제든, 근로시간 문제든… 어느 쪽이든 좀 과한 상황인 건 맞는 것 같습니다.

  • 8시부터 밤 10시 까지 일하는 것이면 굉장히 오랜기간 일을 하기는 하네요. 14시간 정도 매일 같이 하다보면 굉장히 힘들것 같아요. 

    저희 회사도 굉장히 오래 일하는데 그것보다 더 오랜시간 일하는 것 같습니다. 거의 매일같이 12시간씩 하고 주말도 거의 없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실제 남들보다 더 길게 오랜기간 일하다 보니까 힘들지만 내 가족이 편하고자 하다보니 계속 하는 것 같습니다.

  • 직장인이 회사에 있는시간은 주52시간이상 있으면 법으로 안됩니다. 하루에 14시간씩이면 최저시급으로 계산해도 실수령액이 너무 적습니다. 문제가 있어보입니다.

  • 근무시간이 길으시네요 ㅜ ㅜ 일반사무실이라서 8시간 금무합니다 9시부터 6시입니다 비교적 자그마한 사무실이라서 많이 힘들진않습니다 요즘 경기가좋지않아서 일도 많지않고요 급여는 적은편이에요 :)

  • 우리 회사는 모든 근로자가 하루 10시간 근무입니다. 아침 8시 출근해서 오후 7시퇴근입니다.

    근무 강도는 그리 높지 않습니다.

  • 다른 분들의 근무시간을 물어보실 게 아니라 고용노동부에 상담을 받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빠르게 이직처를 알아보시거나요.

    저도 하루 12~14시간정도 사무실에 갇혀사는데 월 실수령 300정도고, 그것도 이 근무강도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해 프로젝트 종료되는대로 이직 예정입니다.

    14시간 근무인데 실수령 240은 심각해요.

    페이를 봐선 사원급이신데 사원급을 그렇게 갈아넣는 것도 말이 안되고 사원급이 아닌데 14시간 근무에 페이가 그것밖에 안되는 것도 말이 안됩니다.

    진짜 뭐 몸 편하고 일 없는 특수직종이 아닌 이상에야 이직이나 고용노동부 상담쪽을 빠르게 알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 저는 보통 10시간 회사에 있습니다.

    아침8시30분까지 출근시간이지만, 대중교통 버스 이용해서 길막히는거 감안하고 8시까지 출근하려고 하는데, 퇴근이 18시입니다. 일이 늦게끝나면 19시나 19시30분까지 일하고, 주말출근은 1년에 1~2번정도하는데, 실수령300 입니다. 12년차 창고관리입니다.

  • 글을 읽어보니 시간이 너무 긴것같습니다 14시간 . 급여도 일한 시간에 비해 너무 적고요 .보통 8시 출근 6시나 7시 퇴근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10시간 정도 근무하고요 이직하는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 저는 오후 출근이라 14시부터 22시까지 있습니다.

    회사에 있는 시간은 약 9시간정도네요.

    보통 1시까지 출근해서 그 주 업무 정리하러 일찍 가는 편이긴 한데, 이 날은 21시 30분에 퇴근합니다.

    주 6일제로 일하고 있어서 토요일은 8시부터 3시까지 일합니다. 4주차까지 일하고 5주차, 일요일, 공휴일은 쉽니다. 공휴일에 쉰 부분은 다른 날에 하루 더 일하는 편입니다.

    업무 강도는 물에서 일하는 거라 혼이 빠질 정도로 힘들긴 하지만, 나름 적응해서 괜찮은 것 같네요. 실수령액 210만 원 정도 받습니다. 추가수당도 그날마다 들어오면 시급+로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빛나라 하리 입니다.

    아침 8시 부터 밤 10시 까지 근무는 힘든 것은 사실 입니다.

    보통 9시 까지 출근하여 퇴근은 6시 정도 하는 회사가 많습니다.

    지금의 사람은 워라벨을 중시 합니다.

    일과 여가생활의 균형을 추구 하는 것이 요즘 사람들의 삶의 방식 입니다.

    일의 집중을 하는 것도 좋지만 본인의 휴식시간 및 여가생활을 가지는 것 또한 본인의 삶에 중요시 여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예전에는 8시 출근해서 퇴근을 저녁 8시정도에 했는데 주52시간제가 시행된 후부터는 저녁 5시 퇴근 혹은 저녁7시 퇴근이 많습니다.

  • 요즘은 주48시간 근무하는 곳이 많으니까 보통은 8~10시간정도 회사에서 머무는것 같으네요! 준비하고 마무리하는 시간과, 사소한 일과를 마치면서 하는 얘기시간 까지 하면요~~

  • 일반 직장인이라면 보통 9시~6시 또는 8시~5시 아닌가요? 실수령액은 저랑 비슷하신데, 14시간이면 현타가 오고도 남겠네요. 그정도면 다른 직장을 알아보시는 게 낫지 않을까요?

  • 안녕하세요. 회사에 굉장히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계신데... 누구라도 그 정도로 일하면 일 강도가 높든 낮든 힘들 것 같아요. 저녁에는 집에 돌아가서 저녁도 드시고 자기만의 여가생활을 가져야하는데 전혀 못하고 계신거니까요. 저도 많아야 9시간~10시간 인 것 같은데.. 잔업을 너무 오래하시는 것 같으니 좀 안 하거나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으셔야 할 것 같아요.

  • 보통 점심시간까지 9시간~10시간 정도 됩니다~과거에는 잔업까지 한다면 그이상이였는데 세월이흐르고, 잔업이 줄어드니,회사에 머무는 시간도 같이 줄어들더라구요~

  • 노동법상 8시간 기본이지만

    업무분야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연봉차이에도 노동시간도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을 느낍니다

  • 14시간을 회사에 계시네요. 저의경우는 일반적인 09~18시 휴게시간 포함 하루 9시간 정도 회사에서 업무를 보고있습니다.

  • 업무강도가 세지 않은데 너무 오래 회사에 있는 것 같아요. 본인만의 시간을 좀 보낼 수 있도록 조그 일찍 퇴근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8시반 출근 6시 퇴근 하는 일정이라 저녁에는 혼자 운동을 하고는 합니다.

  • 전 7시간정도를 있습니다. 세후로 230정도 받구요. 일이 더 필요하다고 느끼면 나가서 그냥 더 합니다. 일을 안하면 제가 책임을 가져야히 하기 때문이죠.

  • 전5시간30분요 오전엔 운동하구요 이렇게 근무하다보니 오전엔 제일보고 오후엔 일하구 나이먹으니 5시간정도 근무도 괜찬더라구요

  • 9시간에서10시간정도있습니다 주말은 안나가고요 거의 회사사람들을 가족보다 더 많이보고있네요ㅎㅎ 주4일제로 바꼈으면 좋겠네요

  • 하루에 직장에 있는시간은8-12시간정도 되네요 어찌보면집에 있는시간보다 직장에나가있는 시간이더많은시간을 보내고있죠

  • 하루보통7시간근무합니다 추가근무할때10시간도합니다업장상황에따라매일매일변경합니다정상적인생활아닌가요 남들저와같을것같은데요

  • 저는 9시 출근 18시 퇴근입니다. 물론 일이 바쁠땐 야근하는 경우도 있지만요

    작성자 분께서는 근무시간이 너무 길게 보이네요..

  • 우리나라 직장 문화가 많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70년 초반에서 2000년 초반까지 직장을 가축적인 분위기로 여기면서 근무했습니다. 그러나 이천 년 후반부터는 직장 문화가 확 바꼈습니다 긴 너무 시간에서 노동 시간 짧아치면서 직장 문화는 확실히 확실하게 바뀌어 나가게 됐습니다. 지금도 장기간 근무를 한다는 것은 힘든 일입니다.

  • 저는 오전10시출근

    오후4시퇴근 입니다.!

    근무시간이 너무 길네요.

    하루에 14시간이면 노동법에 위반행위 됩니다.

    힘내십시오

  • 직장생활하는 사람들은

    주 5일 근무에 평일기준으로

    8시30분까지 출근하여

    19시에 퇴근한다고 보면

    하루평균 10시간 30분 내외가

    됩니다.

  • 보통 9 to 6로 일을 하니까 9시간을 회사에서 보내게되죠.

    그 중 한시간은 점심시간이어서 실 근무시간은 8시간이구요.

    그리고 보통 하루종일 1분 1초도 안쉬고 업무만 하는게 아니고 동료들과 티타임도 갖고 딴짓을 좀 하게되니 8시간중 1시간정도는 다른일을 하게되네요.

    질문자님은 회사라는 공간에서 너무 오래 머무르는것같습니다.

    근로기준법상으로도 어긋난 근무시간인 것 같은데...

    잔업에 대한 수당은 받고 계신가요?

    그렇지 않으면 노동청에 민원을 넣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 저는 5일출근이에요 쉬는시간은 보통

    월~목 오전 10시30분 오후시간 2시50분~3시10분 금요일에는 10시40분 오후에는 3시에쉽니다 하루에 8시간일합니다

  • 하루8시간정도입니다

    아침에 출근해서 저녁까지

    욜띰히 일해서 가정 생활에

    보탬이되는 회사생활

    힘들고 어려워도 하루하루

    알차게 살아갑니다

  • 저는 아침 9시~5시 35분까지 근무합니다.

    보통 제가 알기로 일반 직장인들은 8시~5시 또는 9시~6시가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제직중인 회사도 원래 9시~6시인데 통근버스 시간때문에 점심시간을 1시간에서 40분으로 줄이고 퇴근을 조금 빨리합니다.

    잔업은 거의 없고 가끔씩 바쁜시즌에 3~4명씩 2,3번 2시간정도 잔업합니다.

    질문자분은 확실히 힘들고 현타가 올만합니다.

    솔직히 저는 못버텼을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