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을 적극 해소하는 방안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최근 미분양주택이 7만가구를 넘었다고 하는데요. 주택을 신규 공급할게 아니라 미분양주택을 우선 처리해야 하는것 아닐까요?
미분양 주택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취득세와 양도세 등의 세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미분양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대출 지원을 제공합니다. 대출 금리를 인하하거나, 대출 상환 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방식으로 지원합니다. 미분양 주택을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분양 주택을 해소하고, 임대주택 공급을 늘릴 수 있습니다. 건설사는 미분양 주택의 분양가를 인하하여 판매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여 임대주택으로 활용하거나, 주택 건설 업체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여 미분양 주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미분양 주택을 리츠(REITs)로 활용하여 해소하는 방안도 있습니다. 리츠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는 금융 상품으로, 미분양 주택을 리츠로 활용하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제공하면서 미분양 주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안들을 통해 미분양 주택을 해소할 수 있지만, 주택 시장의 상황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재 정부는 2023년 3월 28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건설경기 회복 지원 방안」을 발표하여, 미분양 주택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분양이 지방에 많이 있다보니 어려운것입니다
서울이나 수도권의 미분양이라면 빨리 해소가 될텐데 지방은 인구가 감소하다보니까 더 심각해진 상황입니다
어찌됐든 경기가 빨리 좋아져서 매도,매수가 원활하게 돌아갔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공인중개사 입니다.
맞습니다. 그러나 부동산경기가 좋지않고 이미 영끌족들까지 매수한상태라 매수자가 거의 없고 미분양주택가격이 매력적이지 않다보니 해소자체가 않되는것으로 보여집니다. 부동산경기가 다시 호황으로 돌아셔야겠지만 현재 경제상황으로는 어렵습니다.
네 맞습니다. 수도권은 인구쏠림으로 2024년~2027년까지 주택 공급이 부족이라고 하고 지방은 악성 미분양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부동산 정책은 수도권에는 공급을 늘리고, 지방은 공급을 줄려서 미분양을 소화하는게 목적이겠지만 전반적으로 수도권 인구 쏠림을 막기 위해서는 국가균형발전을 실천해야 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