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체불

보통은심오한방어
보통은심오한방어

알바 임금체불 신고관련해서 여쭤봅니다

우선 알바한테 임금체불로 신고당했습니다.

원래 6월10일이 알바비 지급일이었고 5월달에 이틀 삼일정도 일했던 친구인데 하루 이틀 일하고나서 출근 날 오후까지도 이따 보자~ 넵 등과 다음주 스케쥴 관련하여 출근 언제언제 넣어달라 등과 같은 얘기를해서 당연히 출근하는걸로 인지하고있었고, 그날 연락 하나도 없이 연락도 받지않고 잠수 후 차단하고 안나왔습니다. 그렇게 그만뒀고 안주면 연락올것같아서 와서 받아가라고 얼굴 한번은 보고 얘기하고싶어서 10일에 지급하지않았고 엊그제 임금 입금해달라고 문자가왔었고 저는 퇴사처리를 안했다고 와서 얘기하고 받아가라고 문자를 넣었고 그 이후 답장없이 오늘 노동청에 임금체불로 신고당했다고 연락을 받았습니다.

1. 이런경우 임금을 바로 지급해줘야만 하는걸까요?

2. 처음 신고당한걸 끝까지 가도 집유,기소유예 나오지않을까 싶은데 와서 받아가게 할 방법은 없나요?

3. 이친구때문에 장사에 피해가 갔는데 ..어떻게 할 방법은 없나요 ㅠㅠ

추가적으로 해결방법이나 의견있으시면 더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1. 이런경우 임금을 바로 지급해줘야만 하는걸까요?

    -근로기준법 제36조에 따라 퇴사후 14일 이내에 임금을 지급해야하며 근로자가 요청하지않아도 동일합니다.

    2. 처음 신고당한걸 끝까지 가도 집유,기소유예 나오지않을까 싶은데 와서 받아가게 할 방법은 없나요?

    -임금을 끝까지 미지급하면 근로감독관은 기소의견으로 검찰송치하고 거의 벌금 부과됩니다.

    3. 이친구때문에 장사에 피해가 갔는데 ..어떻게 할 방법은 없나요 ㅠㅠ

  •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

    우선 근로자가 일방적으로 출근하지 않고 잠적한 것은 잘못이나, 그래도 2~3일 일한 근무에 대해서는 임금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만약 이를 지급한다면 형사처벌 단계로 넘어가지는 않을 것이나, 입금하지 않고 대면 방식만 고수하고 지급하지 않는다면 벌금형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매장에 피해가 간 부분에 대해서는 손해배상 청구를 별도로 할 수는 있겠으나, 이는 민사상 소송 절차를 거쳐야 하고 임금과 상계하는 등 방식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괘씸한 면은 있더라도 2~3일 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임금을 지급하고 퇴사 처리를 하는 방식이 맞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