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언제 어디서든 하나라도 배우자
언제 어디서든 하나라도 배우자

전세와 월세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거주하는 방법이 자가,전세,월세 이렇게 알고들 있는데요 자가는 내집으로 알고있는데 전세와 월세의 차이점은 무스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월세에서 가장 큰 차이는 보증금 액수와 월납 금액이 있냐 없냐 일듯 합니다.

    전세는 몫돈을 지불 하고, 계약종료대 반환 받는 계약 방식 입니다.

    월세는 어느정도의 보증금+매월 지불 하는 월세로 월세 미납등을 대비해서 일정부분의 보증금을 받고, 추가로 매월 웰세를 받으며, 계약종료때 보증금은 반환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와 월세 모두 임대차계약의 한종류입니다. 전세는 일정한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지급하고 주택에 거주한뒤 계약만료시 지급한 보증금전액을 돌려받는 계약형태이고 월세의 경우 낮은 보증금을 내는 대신 월 주거비용을 지급하는것으로 임대차라는 것은 같고 월차임지급 여부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와 월세의 차이점은 전세는 보증금만 임대인에게 지급 후 계약종료 시 보증금을 돌려받습니다. 월세는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지급하고 매월 월세를 지불합니다. 그리고 계약종료 시 보증금을 돌려받습니다.

    전세와 월세 모두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똑같이 보호를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월세 모두 임대차입니다.

    전세는 월세가 0원인 임대차입니다.

    월세가 0원인 만큼 보증금이 높습니다.

    보증금은 나중에 나갈때 돌려 받을 수 있지만 최근에는 그것을 잘 못돌려받는 사례도 많습니다.

    전세는 그런 리스크가 늘 존재하는 제도입니다.

    월세는 매월 일정금액을 집을 사용하는 비용으로 냅니다.

    대신 보증금은 높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여순주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계약시 전세금을 내고 계약만기시 돌려받는거고

    월세는 계약시 보증금을 내고 매월 월세를 내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1. 전세란 일정한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예치를 한 후 계약기간이 종료가 되는 경우 임차건물에 이상이 없다면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반환해주는 임대차 유형이고

    2. 월세는 전세 보다 보증금 규모가 작으나 매월 일정한 비용 즉 월세를 지급하는 임대차 유형입니다.

    월세는 보증금 준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 임대차유형을 사용하지만 전세는 일정한 보증금 준비가 가능한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임대차 유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보증금만 걸고 임대차계약을 하는것을 말하고

    월세는 보증금걸고 월세를 매월납입하는 임대차계약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 전세는 임차기간동안 세를 내지않는대신 높은 보증금으로 지내는 임대방법.


    - 월세는 임차기간동안 낮은보증금을 내고 월별 임대료를 지불해야함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와 월세는 일정한 보증금과 월차임을 예탁하고 지급하여 임차 주택을 빌려서 사용수익하는 임대차제도를 말합니다.

    그 중 전세제도는 월 차임이 없이 일정액의 임차보증금전액을 무상으로 예치하여 임차주택을 빌려 사용 수익하고, 만기시에 전세임차보증금을 돌려받는 것이고, 월세는 일정한 보증금을 예탁하고 거기에다 또 일정한 월 차임을 납부함으로서 주택을 빌려 사용 수익하는제도입니다.

    전세나 월세나 모두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적용을 똑같이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