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 간 화해 노력도 검사에게 말씀 드려야 좋은지, 형사 조정 신청 시 하면 되는 점인지
친구와 시비가 붙어 대화 도중 제가 경고의 의미로 한 대 치고 친구가 고소 후, 화해하려고 대화를 이어 나가는데 친구는 풀 생각이 없더라고요.
노력 했는데 제 잘못만 얘기하니 제3자가 필요한 것 같아 부모님이랑 꼭 얘기 해보라고 부탁하고 대화 종료했습니다
친구 간의 일로 풀 생각이었다 보니 반성문,형사 조정 신청이 있단 걸 검사 유예 처분 후 고지 하루 전에 알았네요... 그래서 제가 이렇게 노력한 걸 검사에게 보여드려야 하는지, 친구 연락을 기다려도 없을 때 형사 조정 신청 시 말씀 드리면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자님이 합의를 위하여 노력한 부분은 질문자님에게 유리한 내용이기 때문게 검사에게 보여주거나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으로 주장하셔야 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병철 변호사입니다.
결론 및 핵심 판단
친구 간 폭행 사건에서 피해자와의 화해 노력이 있었음을 검사가 알면, 이는 양형이나 처분 판단에서 긍정적 요소로 반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반성문이나 조정 신청 시기를 놓쳤더라도, 화해 시도와 대화 내용이 있었다면 그 경위와 태도를 정리하여 검사에게 제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형사 조정은 분쟁의 해결과 피해 회복을 위한 절차이므로, 이를 신청하면서 화해 의사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법리 검토
형사조정은 형사소송법상 피해자와 피의자 간의 합의와 피해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로, 검사의 처분 전후 모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신청 사실만으로는 감경이 되지 않지만, 피해자와의 관계, 사건의 경위, 반성 정도, 화해 시도 등은 검사의 불기소나 기소유예 판단에서 중요한 참작사유로 작용합니다. 특히 ‘피해자와의 관계 회복 노력’은 처분 단계에서 진정한 반성의 증거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수사 또는 재판 대응 전략
검사에게 제출할 때는 감정적 표현보다 객관적 사실 중심으로 ‘언제, 어떤 방식으로 화해를 시도했는지’와 ‘상대가 거부한 경위’를 간결히 기록하십시오. 문자나 통화기록이 있다면 첨부하면 도움이 됩니다. 형사조정 신청 시에는 “피해자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싶다”는 의사를 명확히 표현하십시오. 또한 반성문을 별도로 제출해 진심 어린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추가 조치 또는 유의사항
피해자 측이 조정 참여를 거부하더라도 조정신청 자체는 감경요소로 평가됩니다. 조정 불성립 후라도 검사는 피의자의 태도와 반성 정도를 종합하여 기소유예 또는 약식처분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단, 피해자에게 추가적인 연락을 계속 시도하면 2차 피해로 오해받을 수 있으므로 조정 절차 외 개별 연락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길한솔 변호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상대방과 화해하려는 노력에 대해서 양형으로 주장할 수는 있지만 형사 조정의 경우에도 그렇고 이미 처분이 내려진 상태라면 이제 와서 그 자료를 제출하여도 사건이 기소유예처분으로 종결되어 별다른 조치를 받지 못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