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고마운박쥐82
고마운박쥐8222.04.26

아이가 숙제를 안하고 놀아요.

아이가 학교를 갔다와서 숙제도 안해놓고 놀아요 꼭 자기전에 졸려하면서 숙제를 해요. 학교갔다오면 숙제하라고 얘기도 해주고했는데도 잘 안되요.. 혼자 스스로 하게끔 하려고 말안하려했는데도 잘안되는데요. 어떻게 해야 혼자 스스로 숙제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너무 강요하지 마시고

    숙제를 마치면 적절하게 쉬는 시간을 제공해주시면서

    아이와 시간을 함께 정하시는 것도 좋읗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7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숙제를 너무 잘해 보내기 위해서 아이를 잡지 마세요다. 담임교사에게 우리 아이가 어떻게 보일지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숙제에 대한 평가는 아이의 몫입니다. 부모의 역할은 집에서 숙제를 해가도록 챙기는 것까지입니다. 아이의 숙제는 부모의 것이 아니라 아이의 것입니다. 그 숙제를 어떻게 해갈지는 아이가 결정해야 합니다. 부모가 아이 숙제에 너무 집착하면 아이는 그 숙제를 제 손으로 해가면서 얻을 수 있는 많은 것을 잃습니다. 또한 아이가 갖는 교사나 부모, 공부에 대한 생각까지 그르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경우 학교에 다녀오면 힘들어서 바로 숙제 하는 것을 힘들어 하기도 하지요.

    그럼 좀 쉬게 하시고 몇시에 하면 좋을 것같은지 아이와 상의해서 그 시간을 지키도록 도와주시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처음에는 자꾸 잊어버리고 안하게 되고 하지만 시도가 반복되고 지속적으로 하다보면 습관이 들게 됩니다.

    습관을 들이는데에는 최소 21일이 걸린다고 뇌과학자들은 말합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최소 3주정도는 있어야 습관을 조금 들이기 시작한다는 뜻인 것 같습니다.

    부모님께서 먼저 인내심을 갖고 아이의 습관이 잘 들여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21일을 목표로 잡고 매일 과제 후에 스티커를 붙혀주시고 다 붙힐경우 보상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고쳐지지 않는 다면 훈육도 해주시는것도 고려 해보셔야 겠습니다.

    다만,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인인 우리들도 어려운 것 보다는 쉬운 것을 먼저 하려고 하는 것처럼 , 아이들도 어려운 숙제보다는 노는게 먼저 하고 싶을 나이 입니다.

    부모님과 함께 하는 숙제는 아이들도 좋아할 것 같으니 옆에서 도와주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요즘 아이들과 부모님들 사이에서 유행인 테블릿 학습지를 사용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테블릿 학습지의 경우 아이들의 수준 연령에 맞춰 선택할 수 있고 옆에서 엄마 아빠가 함께 교육할 수 있어 한번 여러가지를 비교해보시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가 스스로 숙제를 하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서는 아이와 식탁에 함께 앉아서 부모는 부모의 할 일을 하고 아이는 숙제를 하는 방식이 가장 좋습니다. 아이와 부모가 같이 노력해 주 3일 혹은 매일 일정 시간을 정해 숙제를 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초등학교 5학년부터는 부모가 같이 있지 않더라도 혼자 숙제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규칙을 내면화 하는 중요한 시기 이기 때문에, 습관을 지금부터 잘 들여야 합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는 밤늦게 들어와 숙제했니? 라는 한마디로 확인을 끝내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부터라도, 아이가 숙제를 할 때 부모가 관심을 가지고, 옆에 있어줘야 합니다.

    부모님이 옆에 있다는 사실 만이라도 아이의 집중력은 몰라 보게 높아질 것입니다.

    일단 아이와 시간 계획표를 짜서 매일 숙제하는 시간을 정해놓고, 숙제를 다 하고 노는 시간을 정하는데, 꼭 아이와 타협해서 실현 가능한 계획을 짜셔야 합니다.

    아이가 어려워할 땐 못한다고 지적하기 본단,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해주며 아이의 부담감을 덜어 주어야 하며, 숙제를 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칭찬을 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