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진실한낙타288
진실한낙타288

허리 디스크와 협착증이 어떻게 다른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75
복용중인 약
혈압약

말그대로 허리 디스크와 협착증이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습니다 디스크와 협착증의 증세와 치료하는 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수술여부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허리디스크와 협착증의경우 차이가있는데요 디스크가튀어나와 신경을누를경우 허리디스크 척추관이좁아져 신경을압박하는경우 협착증이라고할수있습니다~

    좀더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디스크는 척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탈출해 신경이 압박하는 상태로 주로 허리 토증과 다리 저림이 발생합니다. 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로 다리 저림, 걸을 때 통증, 근육 약화가 주요 증상입니다.

    치료는 보통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로 시작하고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디스크는 척추뼈사이 추간판이 이탈하여 주변신경을 압박하거나 건드리는 질환이며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지며 신경이 압박되는 질환입니다.

    두 질환은 서로 다릅니다.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심해지면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를 뒤로 펴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두 질환 모두 수술과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되며 보존적 치료 방법은 허리디스크는 신전운동을 척추관 협착증은 굴곡운동으로 보존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추간판 탈출증(디스크)은 말그대로 허리의 추간판이 탈출하는 질환으로, 보통 뒤쪽으로 추간판이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거나 염증을 일으킵니다.

    허리 협착증의 경우 퇴행성 질환으로, 추간판에 있는 수핵과 섬유륜의 수분감소와 척추뼈 주변의 골극형성, 인대의 변화로 인해 척추관의 사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신경과 혈류에 압박을 가하여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디스크의 경우 허리를 펴는 동작이(맥켄지 신전) 재활을 하는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협착증의 경우에는 허리를 펴는 동작시에 척추관에 가해지는 압박이 증가하기 때문에 반대 동작(허리를 굽히는 동작)으로 증상을 완화하거나 재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허리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추간판에서 수핵이 빠져나오는 것이므로 그것을 제거하거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수핵이 흡수될 수 있는 동작으로 운동 또는 재활 치료를 하며, 협착증의 경우 추간판의 공간에 가해지는 압박을 코어 근육으로 버티게 해주는 늘려줄 수 있는 복부 강화 운동을 주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디스크탈출과 척추관 협착증을 완전히 별개로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둘은 매우 연관이 많은 질환들입니다.

    척추관은 아래 그림과 같이 척추뼈 중간에 있는 공간을 이야기하는데 이게 좁아지는 이유는 세가지 1. 디스크탈출, 2. 후관절 비대, 3. 황색인대의 비대로 인해 생깁니다.

    그런데, 후관절과 황색인대가 비대해지는 이유가 디스크 탈출로 인해서 디스크가 퇴행하고 이로 인해서 척추가 불안정해지면서 생기는 변화입니다.

    즉, 척추관 협착증은 디스크탈출 때문에 생긴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그러니 디스크 탈춮과 척추관 협착증을 완전히 별개로 볼 것이 아니고 두가지 경우에서 모두 디스크를 회복시켜야한다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두가지 상황 모두에서 치료중 가장 중요한것은 허리르 앞으로 굽히지 않는 요추전만 자세의 유지입니다.

    척추관 협착증이 있는 사람에서 허리를 너무 많이 펴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 허혈이 유발되고 다리로 불편감이 생길 수 있는데 그래서 이 경우는 증상이 생기지 않는 선에서 허리를 펴주시면 됩니다.

    예전에는 척추관 협착증에서는 허리를 굽히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니 허리를 굽히는 운동을 시켜라 라고 이야기 하기도 했었는데 이건 지금은 완전히 잘못된 개념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허리를 굽히면 오히려 디스크탈출을 악화시키고 이로 인해서 척추관 협착증도 더 심해지겠습니다.

    수술은 6개월 이상 주사치료 및 재활치료를 했는데도 도저히 통증이 조절되지 않거나, 근력저하가 심해서 발목이나 다리를 들어올릴 수 없거나, 대소변 조절에 장애가 생겼을때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먼저 허리 디스크는 다른 말로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척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탈출 혹은 돌출 되어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데, 이를 흔히 디스크라고 부릅니다.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 저림 증상 등이 있습니다.

    허리 협착증은 척추 간격이 좁아져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증상은 디스크와 비슷하게 허리 통증과 저림 증상이 있습니다. 차이점은 협착증은 주로 걸을 때 아프고, 디스크는 걸을 때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술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허리 디스크 수술 = 내시경 디스크 제거술 : 내시경을 활용하여 돌출되어 있는 디스크를 직접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협착증 수술 = 후궁 절제술 : 척추의 일부를 제거하여 신경 압박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수술은 최후의 수단이니 의사 선생님과 신중한 상담 후에 결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디스크는 퇴행성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추간판이 탈출하는 질환입니다.

    협착증은 뼈 인대 관절등이 비대해지면서 척추 공간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둘은 비슷한 증상으로 많이 오해하기 쉽지만 차이는 디스크 같은경우는 앉으면 통증이 있고 걸을땐 괜찮아집니다 / 협착증같은경우는 앉으면 괜찮지만 조금이라도 걸으면 힘이 빠지거나 통증이 심해집니다.

    다만 디스크와 협착증은 상태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를수있기에 가장 확실한건 병원에 내원하셔서 전문의를 통해 감별진단이 필요합니다.

    수술과 비수술로 나눠지며 비수술 치료는 주사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등이 있으며 수술은 개인의 상태에 따라 수술법이 다르기에 상태를 확인 후 주치의와 상담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문제가 발생하는 곳이 다른데요.

    설명을 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발생하는 부위의 차이

    디스크 : 척추를 중심으로 뒷쪽편에서 일어나는 편

    협착증 : 황색인대라는 척추 앞쪽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발생하는 범위의 차이

    디스크 : 특정 부위에 대해서만 문제가 발생합니다.

    협착증 : 여러마디에 걸쳐서 발생합니다.

    증상은 언뜻 비슷해보일 수 있습니다.

    디스크는 디스크 탈출 / 협착증은 황색인대가 부풀어 오르면서 둘 다 신경을 누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