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간 틱증상이있는 아이 어떻게해야하나요?
초4아들이 약간 음성을내는 틱이있습니다
들릴듯말듯한데 음 음 하고 내는 틱이있는데 어떻게 해야할지모르겠습니다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틱 증상이 있다 라는 전문의 정확한 소견이 있지 않는 한 섣불리 판단을 해서는 안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틱 증상 여부는 의사와 상담을 통해서 정확한 소견 부터 듣고 의사와 상담을 통해서 치료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 입니다.
가정에서 도와 줄 방법은 언어적 자극을 제공해 주는 것입니다.
목소리 크기, 말의 전달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좋아요.
천천히 또박또박 말을 전달 하는 방법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더나아가 아이의 스트레스 및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으로 인해서 말을 전달하는 것 자체를 어려워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틱을 나타내는 상황이나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세요. 학교나 가정에서의 스트레스 원인을 찾아보는 것입니다. 규칙적이고 안정적인 일상은 아이에게 안전감을 주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틱은 종종 아이들이 통제할 수 없는 무의식적인 행동입니다. 아이가 스스로의 증상을 이해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주세요. 아이가 틱을 내는 것을 부각시키거나 비난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이는 아이에게 더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틱의 경우, 의료진과의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만,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단, 그리고 TV와 같은 미디어 매체의 시청 시간 등을 제한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틱을 지적하면 오히려 의식하고 악화될 수 있으니 지적하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마다 정도가 다르므로 정확히는 의료진의 상담을 통해 해결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틱 증상은 무시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필요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세요.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틱 증상은 무시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필요시 전문가 상담을 받으세요.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4학년인데 틱증상이 있다면 이런행동들이 보일때마다 아이 관심을 다른곳으로 돌리는 대체활동을 제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