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부동산시장은 어떤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요즘 뉴스에 도통 부동산뉴스가 나오지않아
시장상황을 알지못하는데요
경기기준으로 현 시장상황이 궁금해요
부동산시장은 참담합니다
거래가 없고 전월세는 아파트만 올라갑니다
전세사기로. 인해 빌라나 다가구는 잘찾지를 않습니다
뭔가 대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부동산 시장은 크게 하락도 상승도 없는 보합장으로 볼수 있습니다. 다만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주는 내외부 요인이 상황상 좋지 않기 때문에 해당 보합장이 하락을 위한 준비단계일지, 상승을 위한 준비단계일지는 아직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즉, 현 악재인 고금리, 고물가, 경기전반의 내수침체등이 해소되지 않았고, 금리를 제외한 나머지 악재들의 해소기미가 아직은 보이지 않기에 아직은 더 지켜봐야 할 상황으로 보입니다.
요즘 부동산 시장은 안좋지도 좋지도 않습니다. 그저 매물대 소화가 되는것도 있고 가격을 다운시켜서 매도되는 부동산들도 있습니다. 이전처럼 엄청나게 떨어지거나 급격하게 올라가는 등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문재인정부때 활황을 보이던 부동산 시장이 윤석열정부 출범이후 주춤하다가 침체기로 빠지는 듯 보였으나 다시 서울 아파트의 경우 상승세로 돌아서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2024년 6월 기준 경기 지역의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실수요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신축 또는 준신축 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구축과의 가격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가격은 전국적인 금리 인상과 매수 심리 위축으로 일부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분양가는 분양가상한제 해제로 인해 상승했습니다.
2024년 1분기 분양 청약 경쟁률은 비교적 낮은 수준을 유지했는데, 이는 높은 분양가와 매물 적체에 기인합니다. 주택 공급은 2023년 대비 감소하였고, 이는 공사비 인상과 금융권 자금 조달의 어려움 때문입니다. 그러나 주택 구입 부담 지수는 하락하여 소득 대비 대출 상환 부담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잔액 기준 대출 금리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의 불확실성도 존재합니다. 전체적으로 경기 지역의 부동산 시장은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실수요가 높은 신축 주택에 대한 선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주택 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 가능성이 앞으로의 시장 흐름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