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외상을 긁다라고 하는 표현은 왜 생겨났나요?

대금을 나중에 지불하기로 하고 물건을 먼저 가져간다거나 음식 가격을 나중에 지불할 때 외사읅 긁다라는 표헌을 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긁다라는 표현은 왜 붙여젔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필기구는 물론 글을 아는 사람조차 희귀했던 옛날에는

    외상 금액과 물건은 특수한 표식을 달거나

    목판등에 새겨서 펴현하는게 전세계적으로 공통된 일 이었습니다.

    조선에서도 마찬가지로 대나무판을 칼로 [긁어서]

    외상야부를 표시했죠

    현대의 카드도 기계에 긁어서 사용되기 때문에

    외상을 긁다(또는 긋다)는 표현이 남아있게 되었 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 외상을 긁다/긋다 등의 표기로 하는데, 이전에는 어떤 장부에 기록하는 그런 구체적인 방법을 쓰지않았던 관계로 어떤 가게주인이 표식을 하는 것을 지칭하였습니다. 또한 외상을 달다..라는 표현도 더 많이 쓰였는데.. 같은 원리가 적용되겠습니다.

    다만, 비교적 근래에 들어서는 신용카드를 단말기에 마그넷부분을 긁어서 결제하다보니 긁다..라는 것으로 용례가 거의 많아졌다고 하겠습니다. (신용카드 결제는 엄밀히 외상은 아니나, 신용카드 회사에 대한 외상이라고 할수도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외상을 긁가가 아니라 외상을 긋는다 라고 합니다.이 말은 1900년대 초 서울의 선술집에서부터 시작됐는데 자주 드나드는 단골손님들은 자주 술을 외상으로 마셨는데 당시 선술집 주인들은 주로 글자를 모르는 경우가 많아서 외상 장부를 작성 못했고 그래서 벽에 손님의 인상을 그림으로 그려서 그 옆에.작대기를 그려서 외상술을 기록했다고 해서 외상을 긋다라는.말이 나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