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David59
David59

언젠가 우리나라에 빈집이 많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는데, 우리나라 빈집의 수는 얼마나 되며, 왜 빈집이 많이 생겼을까요?

지금 TV에서 우리나라에 빈집이 많다는 뉴스를 보고 있는데, 우리나라 빈집의 수는 얼마나 되며, 왜 빈집이 많이 생겼을까요?

한때는 시골집을 갖는 게 로망인 때도 있었는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골의 인구감소와 또 젊은 세대는 대도시로 이동하는 바람에 시골에 빈집들이 자꾸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또 중소도시들은 공급이 많은 관계로 악성미분양이 많아서 빈집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시골의 빈집들이 늘어나서 폐가가 너무많아 심각한 수준까지 가고 있는데 이제는 빈집으로 1년이상 방치하면 과태료대상이 된다고 합니다

    또 지자체에서도 빈집을 어떻게 활용할건지 많은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의 1년이상 미거주 미사용 주택에 대한 통계에 따르면 22년말 기준으로 전국 96,549세대 입니다. 우리나라 총 주택수의 0.5%수준입니다. 물론 지자체별로 심한곳도 있고 덜한 곳도 있습니다. 대부분 빈집이 생기게 된 이유는 수도권 중심의 인구이동이 가장큰 이유이고, 해당 지역내 거주인구가 계속줄어들어 해당 주택을 임대차하거나 매매도 쉽지 않게 되면서 어쩔수 없이 빈집상태로 놔두게 되면서 그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특히 시골에서는 이러한 빈집이 계속 증가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수도권에서는 그 수가 많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빈집 문제로 인해 빈집세를 도입할 예정이며, 각 소유자들은 집을 철거하여 토지상태로 유지하거나 별도 임대차나 매매를 하여야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빈집통게는 2022년도

    통계치를 참조하면 도시지역은 42,356 가구이며 농촌지역은 66,024 가구로 나타났습니다

    도시지역은 대부분 노후화 건물거나 철거비용이 주변시세 보다 높아 방치하다 보니 범죄에 이용하거나 우범지역으로 주변시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농촌지역은 대부분 연고지들이 도시지역으로 이사한 후 소식이 중단되거나 연고자 없은 노인 사망으로 방치되는 사례가 중가하다 보니 지자체장들은 지역현안문제로 어려움을 하소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연고자들 찾아 강제철거 지시를 하여 불이행시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으나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실정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점으로 개인소유의 재산이기 때문에 공권력을 발동하는대는 한계점 있으며 예산마져 부족하여 가까운 시일내 해결하기는 어려운 문제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부동산원 소규모&빈집정보알림이 조회상 2022년 기준 전국 빈집수는 88,678채 입니다. 전북, 경남, 경북, 전남, 부산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방의 인구 이탈과 노령층 증가로 인해 점차 지방으로부터 빈집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은 시골에 젊은 연령대의 사람들이 대부분 서울 및 지방 대도시에 많이들 이동해 살고 정착하여 자녀들 또한 서울 및 광역시 혹은 일자리로 떠나 시골에는 노인분들이 많습니다. 그 곳에 가면 50대도 많이 보기 힘들고 60대가 청년이라는 소리를 들을 만큼 평균연령이 매우 높습니다. 물론 노인분들 중에서 가족들이 있지만 타지에 살고 돌아가시거나 하는 경우 해당 집은 빈집으로 남기 마련입니다.

    다시 수선해서 살면 되는거 아닌가? 싶지만 빈집으로 두는 것이 비용적인 부분에서 더 나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시골에 빈집들이 많지만 소유권들이 있고, 연고가 없으신 분들은 국가로 귀속하여 관리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오려는 수요가 많이 있습니다.

    반다 급부적으로 지방에 특히 시골에 빈집이 많아 문제가 되고 있는데 전국적으로 150만호 이상 되고 있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빈집 수는 증가추세인데요. 주로 인구 감소와 도시 집중화, 그리고 노후화된 주택이 많아서 그렇죠. 특히 젊은 층이 대도시로 이주하면서 시골이나 지방의 주택이 방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