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발진의 환자들에게 항생제 사용하면 안좋은 이유?
세균성 피부 질환의 환자들에게는 치료제로 항생제를 사용하는데 약물발진의 환자들에게는 항생제 사용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세균성 피부 질환 치료에 항생제가 효과적인 반면, 약물 발진 환자에게는 오히려 해를 끼칠 수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메커니즘으로 설명됩니다.
첫번째는 면역 체계 반응 증폭입니다.
일부 항생제는 특히 페니실린 계열은 면역 체계가 특정 약물을 공격자로 오인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도록 자극할 수 있습니다. 이미 약물 발진으로 피부에 민감한 상태인 환자에게는 이러한 반응이 더욱 심각해져 두드러기, 가려움증, 심지어는 쇼크와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 다른 약물 알레르기를 경험한 경우, 유사한 구조를 가진 다른 약물에도 반응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를 교차 반응이라고 하며, 항생제 복용 시 발진 악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추가적인 피부 자극입니다.
일부 항생제, 특히 테트라사이클린과 술폰아미드 계열은 일광에 노출되면 피부가 자외선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발진, 화상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광감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약물 발진으로 피부가 이미 손상된 상태에서 광감작이 발생하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항생제는 피부 장벽 기능을 약화시켜 건조함, 가려움증,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미 피부가 민감한 약물 발진 환자에게는 이러한 영향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항생제의 경우 세균만 특이적으로 죽이는 화학물입니다.
피부질환의 원인이 세균이라면 해당 세균을 제거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면 효과적이지만,
세균이 원인이 아닌데 항생제를 사용하면 해당 증상의 개선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또한 항생제는 보통 특정 세균만을 죽이지 않기 때문에 피부나 체내의 다른 필수적인 유익한 세균까지 죽이면서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약물발진은 특정 약물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T 림프구가 약물에 의해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항생제를 투여하게 되면, 이미 과민해진 면역 체계가 항생제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 결과, 기존의 약물발진이 더욱 악화되거나 심한 경우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이나 독성 표피 괴사용해와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피부 반응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발진 환자에게는 원인 약물을 중단하고 대증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항생제는 세균 감염의 명확한 증거가 있는 경우에만 신중히 사용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약물발진 환자들에게 항생제를 사용하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약물발진과 항생제의 부작용이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약물발진은 항생제와 같은 약물을 복용한 직후에 발생할 수 있는 피부 반응입니다. 이는 항생제와 같은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피부 발진, 가려움증, 발진 부위의 부어 오름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항생제'는 본래 미생물이 생성한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인체에 침입한 세균의 감염을 치료하는데 쓰입니다. 따라서 세균성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 발진은 피부 반응으로 나타나는 약물의 부작용으로, 어떤 약물로 인한 것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항생제에 대해 발진이 일어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하면 안 좋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