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가 계속 오르는 추세인데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파트 분양가가 떨어질세 없이 연이어 오르고 있는데
분양가는 어떤 것을 기준으로 측정이 되나요?
분양가가 오르는 원인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아파트 분양가가 상승하는 원인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아파트 건설에 필요한 자재들의 가격 상승은 분양가를 올리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철근, 시멘트 등의 건설자재값이 급등하고 고물가로 인한 인건비와 물류비의 상승은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정부의 주택 정책, 금리 인하, 재개발 정책 등이 아파트 분양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 인하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하고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은 상승합니다. 지역별로 교육, 교통, 주변 편의시설, 공원 유무, 혐오시설 존재여부 등을 고려하여 평가합니다. 또한 개발계획, 금융비용, 입주시기, 단지규모, 단지사양, 시공사 브랜드 등도 분양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층, 향, 평형 등을 따져서 상품 특성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최종 점수를 계산하고 주변 아파트 시세와 비교해 보정비율을 정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여 아파트 분양가가 결정되며, 주변 시세와 비교하여 적정한 가격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사비가 많이 올라서 분양가가 오르는것입니다.
공사비에는 자재비, 인건비등이 있을 수 있고 자금 조달에 따른 이자 비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금리 역시 많이 올라서 이자 부담 역시 분양가가 올라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토지가격 + 인건비 + 원자재 + 시행사 마진 이 3가지를 기준으로 가격이 측정됩니다.
부동산인 토지가격은 변동이 있다 가정하여도, 인건비와 특히 원자재 가격이 최근 높게 올랐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아파트 분양가는 아파트 분양 원가와 이익으로 형성이 됩니다.
요즘은 고금리 일단 대출이자가 높습니다. 이거 또한 분양가에 포함이 됩니다.
그리고 유가 상승 및 원자재 재료비 및 인건비 상승으로 이 또한 분양가에 포함이 됩니다.
결국 금리, 물가상승등이 건설 원가를 올리고 그것이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 지고 있습니다.
아파트 분양가는 2022년 "분양가 제도 운영 합리화 방안"으로 분양가 상승 한도가 확대되고 2023년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해제로 분양가격 제한이 해제되는 등 규제가 완화되고 원자재가격, 인건비 등의 상승에다가 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까지 겹쳐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금리,자재값,인건비 안오르는것이 없을정도로 많이 올라있습니다
오죽하면 건설사에서 공사를 안하는게 남는것이라고 얘기할까요
그러다보니 분양가가 자동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아파트당첨이 됐다해도 포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어찌됐든 금리가 좀내려줘야 그나마 안정이 될거 같습니다
한마디로 분양가 상승은 제조원가의 상승 탓입니다.
우선 택지의 매입 개발 비용, 건축자재와 인건비의 상승이 있을 수 있겠구요
재개발 등 도시정비 사업이라면 이주비 등 대출에 대한 이자율 상승도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건설 공사가 수년에 걸쳐 진행되는 사업이라서 특히 공사가 지연될 경우는 이자비용은 더욱 더 증가하고 비용으로 전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