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한참부유한가지나물
한참부유한가지나물

일반 직장 다니는 것보다 세금 덜 떼가는 일용직이 낫지 않나요?

일용직이 보통 직장인보다 시급도 많고, 월급 받을 때 세금을 아주 조금 떼가서, 돈을 무지 많이 벌던데(일이 끊이지 않는 가정하에) 왜 사람들은 일반 직장을 다니는 건가요? 혹시 월급에서 세금을 덜 떼는 걸 나중에 한번에 많이 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호석 노무사입니다.

    일용근로자가 1개월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에 한정하여 가입자 대상이 되지 않을 뿐이므로 세금측면만 판단한다면 큰 이득은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일용직의 경우 4대보험 관련 혜택을 온전히 받지 못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일용직은 일반적으로 시급이 높고 세금이 적게 부과되지만, 이는 하루 단위로 일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고, 소득세 신고 시 연말정산에서 추가 세금을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일반 직장은 고용 안정성, 복지 혜택, 퇴직금 등 장기적인 보장이 있어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일반직장이나 일용직이나 공제되는 부분에 있어 실제 차이는 없습니다. 일용직도 한달 이상 근무하고 월 근로일수가

    8일 이상인 경우 4대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여야 합니다. 일부 회사에서 법에 위반하여 4대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근무를 시키는 경우가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일용직도 일반 직장인처럼 일이 꾸준히 된다면 4대보험 모두 가입하게 되므로 세금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안정적인 급여소득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 근로기준법 보호가 미약하든 점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직업안정성 측면에서 상용직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일용직의 종류는 많은데 보통 직장인보다 시급이 많다는 근거는 뭔지 모르겠네요. 세금은 똑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