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 가입요건 강화가 전세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HUG의 전세보증 가입요건이 공시가의 150%에서 126%로 강화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전세보증 가입요건 강화가 전세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임대차시장의 다가구 다세대 오피스텔 등의 주택에 대한 전세반환 보증보험 가입조건이 강화되면, 다가구주택이나 빌라의 주택 소유자들 임대인들이 전세가격을 지금보다는 내려야 할 것입니다.
올해들어 개별공시가격이 낮아진
이유도 있고, 더불어 전세가격의 하락은 결과적으로 빌라 등의 주택가격을 그 부분만큼 하락 견인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보험 조건이 까다로워지면, 임차인 보증금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것도 있지만 더 중요한건 가입조건 미달이 되는 주택에 대해 계약체결이 안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곧 시세 대비 높은 전세가격으로 역전세, 깡통전세 리스크가 있는 주택전세수요가 감소될수 있고, 이는 곧 전세가격하락으로 이어질수 있기 때문에 전세사기의 부담을 조금은 줄게 하는 긍정적 효과가 있을 듯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2023년 5월부터 전세보증금이 집값의 90% 이하인 주택만 HUG전세보증그 반환 보험에 가입 할 수 있습니다.
전세사기를 막기위해 요건이 강화되었는데 실무에서는 보증금 차액만큼 월세로 전환하여
반전세로 계약이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조건이 강화되는 경우 "무주택자 + 경제적으로 취약한 분"들이 월세로 전환되거나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한 만큼 사실살 주거비용 상승 등 또다른 사회적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보증 가입요건을 강화한다는 건 임대인의 추가로 대출을 일으켜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이 대출을 일으키지 못하거나 부담스러운 임대인들이 시장에 매물을 내놓을 확률이 높으며, 이에 따라 부동산 경기가 추가하방 압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보증보험이 강화되면 기존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해둔 임차인들도 연장시 보증보험이 가입이 안될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보증보험이 강화됨에 따라 보증보험이 가입이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전세수요자는 감소할것이고 그에 맞춰 전세가가 하락할것 입니다. 전세가가 하락하면 무자본갭투기등의 문제는 사라질수있으나 집값은 전세금과 동반하락이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