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매일깐깐한소시지볶음
매일깐깐한소시지볶음

전세계약 만기 전 월세로 이사(전세대출)

저는 현재 전세 8,200인 집에서 카카오청년전세대출로 7천을 대출 받아 살고 있습니다

계약만기는 25년 1월인데 24년 7월에 만기 전 이사를 가게 된 상황입니다

질문1. 만기 전 이사라 세입자를 못구할시 보증금을 못돌려 받을수도 있는데 이 상태에서 이사할 집 전입신고가 가능할까요?(이사할 집은 월세 집입니다)

질문2. 만약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이사를 하게되면 대출이자가 계속 나갈텐데 그 보증금을 해결 할 또 다른 대출이나 방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1 .새로 계약한 주택에 전입신고는 가능하지만, 이럴 경우 현주택에서는 자동전출이 되어 대항력을 상실할수 있고 현주택에 전세대출이 있다면 대항력 상실은 대출유지나 혹시모를 미반환시 임차권등기신청등을 할수 없기에 현 전입신고를 반드시 유지하셔야 합니다.

    질묹2, 전세대출은 중복이 되지 않기에 별도 신용대출,지인에게 차입등을 통하지 않는다면 일반전세대출을 통해서는 불가합니다. 그러므로 중도해지에 대한 임대인과 협의를 잘 마무리하시고, 보증금 반환을 받고 이사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그럴 상황이 되지 않는다면 주택인도를 하지 않고, 해당 주택에 전입신고도 반드시 유지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1. 청년대출은 전입을 옮기면 즉시 반환하셔야 합니다.
      보증금 반환 전 까지는, 전입을 유지하셔야 합니다.

    2. 따로 신용대출을 알아 보시거나, 보증금 저렴한 주택으로 보셔야 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1. 전세보증금의 비중이 더 크므로 전세집에 전입을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게약기간중 임차인의 사정에 의한 이사로 대출이자 부분은 임차인이 감수하여야 할 것입니다

  • 전입신고를 하는 자체는 가능하지만 월세쪽으로 전입을 하면 전세에는 대항력이 없어집니다.

    어느쪽으로 할지는 선택의 문제이지만 전세가 금액이 크니 아무래도 전세쪽으로 전입을 유지 하고 있는게 좋습니다.

    전세대출을 못갚은 상태로 이사를 가면 다른 보증금 관련 대출은 어렵고 신용대출등으로 상환하는 수밖에 없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만기 전 임차인이 계약해지를 하게되면 임대인과 합의하에 계약해지를 해야 합니다. 임차인이 새임차인을 구하고 중개보수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계약해지를 하게 됩니다. (보통 계약서 특약사항에 이내용이 있다면 그대로 이행하면 되고 이 내용이 없더라도 보통은 이렇게 계약해지를 하게 됩니다.

    임차인이 구해질 때까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 합니다.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 한다면 기존 전세대출 해지를 할 수 없게 됩니다. 전세대출이 있는 상황에서 다시 대출을 받을 수 없으나 신용대출을 이용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신용대출은 대출이자가 높아서 지출이 많아지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존 전세대출은 전입신고와 대항력을 확인하고 대출을 진행했을 것인데 다른 월세 집으로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기존 전세집의 대항력을 잃게 되므로 전세대출을 한 은행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만기전이라 집이 나갈때까지 기다리셔야 합니다

    보증금을 받기전에는 전출을 하시면 안됩니다

    보증금이 많은 쪽으로 전입신고를 해둬야 됩니다

    ,만기전이라 방이 나갈때까지는 질문자님이 대출이자를 내셔야 합니다

    방이 나가서 은행에 상환을 하셔야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처계약은 만기를 지켜줘야 합니다. 임대인 또한 만기전에 보증금을 내어줄 의무가 없습니다. 또한 새로운것에 전입신고를 하게 되면 기존 집의 대항력이 사라져 버립니다. 방법은 다른 세입자를 부동산에 의뢰해서 복비 드리고 연결시켜드리고 깔끔하게 보증금 받고 이사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