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알뜰한박새245
알뜰한박새245

장기 이식은 도대체 어떻게 하는 건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2

사람과 사람간의 장기 이식을 할 때, 도대체 어떻게 하는 건가요.. 제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됩니다. 장기를 꺼내고 다른 사람에게 봉합을 하는 건가요? 그게 어떻게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하는 방법은 우선 해당 장기에 연결된 혈액과 림프 등등 모든 순환기계에 대해 분리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역시 순환이 될수 있게 연결해주는 과정을 거친후. 장기를 적출하고 공여자 장기를 이식하시는 분에게 연결하는 작업을 거칩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

    먼저 기증자로부터 장기를 적출한 뒤, 이를 특수 용액에 담아 보존합니다. 수혜자의 몸에 문제가 있는 장기를 제거하거나, 경우에 따라 새로운 장기를 추가한 후, 혈관과 신경 등을 정교하게 봉합합니다. 이식 후에는 수혜자의 면역 체계가 새로운 장기를 공격하지 않도록 면역 억제제를 투여하며 수혜자의 몸에 잘 적응하는지 경과도 지켜 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장기마다 이식시에 연결이 필요한 부분들이 다릅니다.

    장기가 몸에 연결된 혈관, 신경 같은 부분들을 다 이어주면 이식이 가능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간이식의 경우에 간정맥, 간동맥, 간문맥 이런 큰 혈관들을 이어주면 작동을 합니다.

    심장의 경우에도 심장과 연결된 혈관들을 연결해줍니다. 심장은 평소 두가지 기전으로 작동을 하는게 자율신경계와 혈중 호르몬에 영향을 받아서 작동을 합니다. 그런데, 심장 이식에서는 자율신경계를 연결해줄 수는 없습니다. 신경을 이어줄만큼의 기술이 되지 않는거죠. 그래서 이식된 심장은 정상 심장보다 우리 신체 움직임에 맞춰서 심박수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전신에 혈액을 공급해줄 정도의 기능은 할 수 있으니 이식을 해주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장기이식은 기증자선정, 장기채취, 장기보존, 수혜자에게 수술, 회복 및 면역억제치료와 정기검진의 복잡한 과정이 있는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의료절차 입니다. 기능을 더이상 하지 못하는 장기를 대체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방법으로, 수술 자체에 많은 위험요소가 있고 수술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장기이식의 경우 옛 소련시절의 동물실험에서 점차 발전해온것으로, 사람의 경우 간이나 폐, 심장, 신장등 여러 장기에 대한 이식수술이 현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환자분의 장기를 떼어내고 이 부위에 다른 사람의 장기를 집어넣는 것입니다.

    거부반응만 해결할 수 있다면 환자분이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질환을 무시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장기 이식은 일반적으로 뇌사 상태의 기증자에게서 이루어지고 기증자의 장기가 건강해야 합니다.

    장기를 꺼내는 수술을 진행되면 의사가 기증자의 장기와 혈관 신경등을 조심스럽게 분리 후 채취한 장기는 적절한 보관 용액에 담겨 이식 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