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비용이 아파트마다 다른 이유가 뭔가요?
동생네 아파트에서 전기차 충전하는 거와 제가 사는 아파트에서 충전하는 비용이 다릅니다.
세대수에 따라 다른건지, 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기차1회 충전비용중 완속충전기는 봄,여름,가을,겨울 시간에 따라 한전에서 다른 충전 단가를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가정용 전기차 충전비용 또한 동일하게 경부하,중간부하,최대부하 시간대 충전할경우 다른 요금이 적용되기때문에 가장 저렴한 시간에 충전을 사용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마다 전력 공급 계약이 다를 수 있습니다. 세대 수가 많은 대단지 아파트는 대규모 전력 계약을 맺어 전기 요금을 더 저렴하게 받을 수 있는 반면, 세대 수가 적은 아파트는 비교적 높은 요금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기의 업체의 과금 방식에 차이가 날 수 도 있고, 아파트 자체적으로 충전소를 설치해 운영하는 경우와 외부 업체가 운영하는 경우, 충전 요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아파트내 전기자동차 충전비용에 대해서는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를 통해 결정되기 때문에 각 아파트마다 비용에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충전업체들이 아파트내 의무설치규정을 이용해 무료설치를 해주는 대신 좀더 높은 요금을 부과하여 가격대가 높은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보통 kWh당 200원 정도가 평균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홈런공인중개사사무소 슬러거(김찬울)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전기차 충전비용은 아파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충전 인프라의 운영방식, 세대수, 전기요금 체계 그리고 관리방식 등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먼저 운영주체에 따라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개별 충전사업자(환경부나 한전 등)와 계약을 맺고 충전소를 운영하며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충전요금을 설정합니다. 개별 충전기 설치 여부에 따라서도 요금이 달라질 수 있는데 아파트 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충전기인지, 개별 세대가 설치한 충전기인지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은 아파트 내에서 한전의 일반 전기요금 체계를 따르며 충전소를 통해서 상업용 전기요금이 책정되기도 합니다. 특히 충전기가 연결된 전기계약 유형이 중요한데요, 일반 가정용 전기와는 다르게 상업용 전기는 요금체계가 다르고,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가 적용 될 수도 있습니다.
세대수가 많은 아파트일수록 충전기 설치 및 운영비용이 더 많은 세대에 나눠지기 때문에 충전비용이 저렴할 수 있습니다. 반면 세대수가 적거나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아파트는 유지 관리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아 충전요금이 비싸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소들로 인해서 아파트마다 충전요금이 달라 질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마다 설치된 충전기의 종류에 따라 비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고속 충전기, 저속 충전기 종류가 달라 요금이 다릅니다. 또한 아파트가 계약한 전력회사에 따라 전기 요금이 차이가 발생할수도 있고 충전비용이 관리비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