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의젓한독수리205
의젓한독수리205

세균을 가진 사람을 보균자인데, 바이러스 가진 사람도 왜 보균자라고 하나요? 바이러스는 균이 아닌데 그럼 보균자의 균은 더 큰 범주인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28

세균을 가진 사람을 보균자인데, 바이러스 가진 사람도 왜 보균자라고 하나요? 바이러스는 균이 아닌데 그럼 보균자의 균은 더 큰 범주인가요?


보균자 의미를 찾아보니 "병원균"을 지니고 있으면서 어쩌고저쩌고 라고 의미가 나오는데 바이러스나 세균이나 이런 걸 통칭해서 병원균이라고 하나요?


균이 아닌데 왜 바이러스 가지고 있는 사람을 바이러스 보균자라고 하는지 궁금해요.


전부터 궁금했어서 올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세균의 균자와 보균자의 균이 같아 세균에만 해당한다 생각하실수 있겠지만

      보균자는 영어로 carrier 즉 감염 되었지만 증상이 발현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번역을 보균자로 한것이지 실제로는 세균, 바이러스등 감염이 되었지만 증상이 되지 않은 사람을 통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보균자"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병원균을 몸 안에 지니고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데 사용됩니다. 여기서 "병원균"이라는 용어는 세균과 바이러스 모두를 포함하는 넓은 범주로 사용됩니다. 실제로, 세균과 바이러스는 전혀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자체적인 대사 활동과 번식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바이러스는 생명체의 세포 내부에서만 활동할 수 있는 비세포성 감염원입니다.

      그러나 의학적 용어에서는 이 두 가지를 구분하지 않고, 어느 것이든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를 가리켜 "병원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몸에 지닌 사람을 "바이러스 보균자"라고 하고, 세균을 지닌 사람을 "세균 보균자"라고 하는 것은 일종의 통칭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영어로는 pathogen 이라고 하는데 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이해하기 쉽게 병원'균' 으로 표현하나 pathogen 에는 균과 바이러스 진균 등을 모두 통칭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보균자(carrier)는 병원체를 체내에 보유하면서 병적 증세에 대해 외견상 또는 자각적으로 아무런 증세가 나타나지 않은 사람을 가리킵니다.

      전염병 예방법에서는 병원체 보유자라는 말을 사용하여 환자에 준한 것으로 취급하는데, 이것은 보균자를 문자 그대로 해석할 때 병원세균만이 대상이 되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리케차 등 병원세균 이외의 보유자도 포함할 필요에서 이렇게 부르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보균자를 넓은 의미로 해석하여 병원체 보균자와 같은 의미로 다루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보균자는 영어로 carrier라고 합니다. 전염의 원인이 되는 무언가를 보유한 사람이라는 의미 정도가 됩니다. 이것이 우리말로 번역되면서 보균자라는 말이 되었는데, 원인이 되는 것이 꼭 세균일 필요는 없습니다. 바이러스나 기생충을 가진 경우에도 보균자라 표현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말씀대로 병원균에서 균은 세균만을 의미하기 보다는 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포괄적으로 통칭하는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