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들과는 잘 지내는데 엄마에게는 쌀쌀한 이유?
평소 친구들과 지내는 거 보면 배려심도 있고 사교젹이에요. 말도 잘 하고 먹기 싫은 것도 먹어요.
근데 집에 들어올 때 엄마를 봐도 인사도 제대로 안 하고 편식도 심해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흔히 어른들도 집에 오면 쓰고 있던 가면을 벗는다고 말하죠. 아이들도 집이 편하기에 밖에서 쓰고 있던 가면을 벗는건 아닐까요? 만약 그런 행동들이 거슬린다면 아이와 마주앉아 진솔하게 얘기를 나눠보면 좋을 것 같아요.
아이의 행동을 나무라기보다는 일어난 사실과 엄마의 감정을 아이에게 전하고 부탁을 하는거죠.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와 아이 간에 의사소통이 충분하지 않거나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은 감정과 필요를 공유하고 서로의 이해를 돕는 데 중요합니다.
그리고 엄마와의 의사소통이 부족하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엄마의 지원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춘기 시기로 생각되네요
이때는 친구가 더 좋고
엄마의 말은 잔소리로만 들리는 시기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어느정도 개인생활은 존중해주시고
버릇없는 태도는 훈육을 해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자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사춘기시기로 생각되네요 아이와 진지한 대화를 나눠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시기에는 엄마 아빠의 말이 잔소리로 들리기때문에 말하는 대화법이아닌 듣는 대화법을 통해 아이의 고민 고충 하고싶은것등등을 청취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가 편해서 그럴수있습니다.
집에서는 편안함을 느끼고 응석을 부리고 싶고 힘든부분을 공감받고 싶어서 떼를 피우거나 응석을 부리거나 할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향이 강한 아이에게 억지로 말을 시키고, 외향적으로 행동하라고 강요하는 것만큼이나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도 없습니다. 아이의 성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되, 그 선 안에서 아이가 부모 자신은 물론 친구, 넓게는 타인과 원활히 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부모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어요. 혹시 아이가 서운한것이 있는지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마 사춘기 시기의 아이일것으로 보여집니다. 보통 사춘기 시기의 아이는 친구 편향적 사고를 가집니다. 그렇기에 집에서와 밖에서의 아이의 모습이 다릅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아이와 많은 소통을 하고자 노력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밖에서는 친절한 아이가 집에 오면 쌀쌀맞은 경우는 많습니다.
그것은 평소 부모와의 유대 관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이와 시간을 많이 보내고 대화를 많이 해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과 평소 관계가 소원한 편이었나요? 아이에게 주는 관심이 부족한 것은 아니었는지?
가정 내에서 점검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평소보다 아이에게 많은 관심을 주시고, 사랑으로 대해 주세요.
보호자께서 마음을 열고 다가가면 아이도 마음을 열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아이가 밖에서와 집에서 다른 것 같습니다.
어머님과 과거에 어떠한 다툼이나 트라우마가 없었는지
평소에 너무 많이 혼내셨는지 등을 체크해보시고
아무래도 집에서는 편해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일단은 식습관을 잡기 위하여는 식습관 등도 집에서 교육해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보통 밖에서의 행동과 집안에서의 행동이 다른 건 어쩌면 당연한 것 같습니다.
밖에서 규율과 규칙에 얽매여서 자신이 하고 싶은 데로 하지 못해서 남을 의식해서 남의 기준에서 배려, 양보를 해야만 하니, 스트세스가 극에 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집안에 오면, 모든 게 풀어지고, 자유롭게 지내고 싶은 마음이 생길 것입니다.
또한 아이의 행동에 문제가 생기면, 같은 말을 여러 번 하거나, 또는 평소 잔소리를 많이 하는 지,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자신한테 유리하게 들리는 거에만 반응을 할 수도 있습니다.
훈육을 할 땐, 단호하고 짧게 끝내셔야 합니다.
또한 아이에게 일관성 없게 행동을 했는지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