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가족·이혼

2년안에 서울가기
2년안에 서울가기

전남편이 친권 양육권이 없는데 사망할경우

혹시 빚이 있으면 아이에게 빚이 넘어올까요?? 안 넘어오게 하려면 절차를 어떻게 해야하는거죠 아직 양육비를 많이 못 받으면 그건 영영 못받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아이는 친권, 양육권과 무관하게 1순위 상속인입니다. 따라서 채무가 많다면 상속포기절차를 진행해야 하고, 채무자가 사망하여 양육비를 받기는 어렵다고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훈 변호사입니다.

    친권, 양육권과 별개로 부모와 자녀의 친자관계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아이의 아버지가 사망할 경우 자녀는 1순위 상속인이 되기에

    별도의 유언이 없다면 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게 되는데

    재산만 상속되는 것은 아니고 채무도 상속이 됩니다.

    만약 상속받을 재산보다 채무가 더 많은 경우라면

    상속포기를 하거나 한정승인을 하실 필요가있습니다.

    상속포기는 상속인 자격을 처음부터 포기하는 것으로 상속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한정승인은 상속은 받되, 상속받은 채무는 상속받은 재산의 범위 내에서만

    변제할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상속받을 채무가 재산보다 더 많다는 사실이 확인된 경우라면

    아애 상속포기를 하는 것이 간단합니다.

    아직 상속재산 파악이 제대로 안되어서 상속받을 채무가 더 많은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한정승인을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경태 변호사입니다.

    친부 사망시 자녀는 상속인이 됩니다.

    친부가 채무가 더 많은 상황에서 사망한다면 3개월 이내에 한정승인이나 상속포기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미지급된 양육비가 있다면 사전에 청구를 해놓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