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덕진 의사입니다.
1. 한포진이 의심됩니다.
한포진은 손•발바닥과 손가락 옆쪽에 매우 작은 물집이 잡히는 것을 말합니다.
물집은 일반적으로 3주 정도 지속되며, 심한 가려움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물집이 마르게 되면, 비늘처럼 벗겨지기도 하고, 같은 자리에 재발이 잘 됩니다.
치료는 크림이나 연고를 바르고, 심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 먹는 약이나 주사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2. 원인
일반적으로 한포진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정서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심해지는 동안에 더 많이 나타납니다.
또한 코발트와 니켈 등의 중금속에 노출되었거나, 민감한 피부일수록 더 잘 발생합니다.
3. 증상
한포진은 40세 이전에 잘 발생하며,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은 가능합니다.
발진과 함께 물집은 급격하게 발생하는데, 작고 둥글며 타피오카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작은 물집이 큰 물집의 형태로 합쳐지기도 하고, 그룹으로 묶여 있기도 합니다.
발진은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통증이 있고, 매우 가렵습니다.
물집이 마르고 없어지면 피부색은 붉어지는데, 피부 장벽이 약해져 심하게 긁으면 세균 감염의 발생률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한포진은 매월 또는 매년 규칙적으로 재발하는 경향이 있어 손과 발에 발진이 저절로 없어지지 않으면 병원에서 진료는 받는 것이 좋습니다.
4. 진단/검사
대부분 신체검진으로 한포진을 진단할 수 있고, 필요시 검사를 할 수도 있습니다. 무좀과 같은 질병을 감별하기 위한 곰팡이균 검사가 있으며, 피부 알레르기와 민감도는 패치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치료
물집이 있을 경우에는 하루에 3-4차례 멸균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물 찜질(WET DRESSING) 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집에 사라진 후에는 국소스테로이드 연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먹는 스테로이드 약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스테로이드의 장기 복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치료의 효과가 없을 경우, 자외선과 결합한 특수 광선치료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6. 예방/생활습관
한포진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아 검증된 예방법도 없습니다.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코발트와 니켈과 같은 금속염에 노출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순한 클렌저와 미지근한 물로 손을 닦고, 규칙적으로 보습을 해 줍니다.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장갑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비닐장갑이 라텍스보다 권장되는데, 알레르기 반응과 손상된 장벽기능을 악화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닐장갑은 화학물질로부터 손을 보호해 줄 수 있으나 장갑 밑에 땀이 차서 짓무를 수 있으므로 비닐장갑 속에 흰 면장갑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면의 경우 환경으로부터 알레르기 항원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면장갑만 하루 종일 착용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가려움이 심할 경우, 시원한 습포를 적용하면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습진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습진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려운 피부병이며, 원인이 불확실하고 재발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형태와 양상은 매우 다양하며 여러 가지 습진을 통틀어서 말할 때는 습진성 피부질환군이라고 말합니다.
주부습진은 비누세제, 물일, 고무장갑, 흙일, 정신적인 스트레스 등으로 악화되고 지점토나 꽃꽂이 등의 취미생활, 약품을 만지는 작업일 때도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손을 자주 씻는 습관이 있거나 어릴 때 태열이 있던 주부에게 호발될 수 있습니다.
일단 습진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1. 급성: 선홍색의 붉은 반점이 생깁니다.
진물, 물집, 피부융기 등의 증상이 주변 피부로 퍼집니다.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해서 수면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환부 열감과 부종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2. 만성: 피부 붉은 반점의 색이 좀 더 어두운 암갈색으로 변합니다.
각질이 두꺼워 지며 건조함이 더 심해집니다.
피부가 거칠고 두꺼워지는 증상과 색소침착 증상이 동반합니다.
치료법은 근본적으로 습진을 유발하는 환경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병원 치료는 비정상적인 습진을 예전의 피부로 돌아가게 하는 것이지, 피부가 물이나 세제에 강하도록 해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물에 젖는 일을 할 때 비닐장갑안에 흰 면장갑을 착용하는 것은 피부가 짓무르지 않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보습이 매우 중요하므로 수시로 보습크림, 연고를 바르면 도움이 됩니다.
이 답변은 신고를 받아 관리자 검토 결과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수부습진은 주로 물을 많이 접하는 직업을 가진 직업군이나 주부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물이나 세제등을 자주 만지다 보면 피부 각질층이 사라지게 되고 피부 장벽이 손상되면서 피부염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래서 치료 방법 중 하나는 수부습진을 유발하는 환경에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동시에 보습 및 필요시 스테로이드 연고를 의사 처방에 따라 도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치료가 완료되는 것은 아니며 비슷한 환경에 노출시에 다시 증상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