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예쁜늑대61
예쁜늑대61

전세계약서 특약실효성 질문입니다

광주광역시에 있는 8년전세 오피스텔인데 현재상황은

원래는 매년 4월마다 명의변경 기간에만 입주할수 있었습니다

8년전세이기때문에 집주인은 건설회사이며, 세입자는 명의변경으로 들어올수 있었고,


21년4월29일에 첫 입주를 시작해서

의무거주기간인 4년후인 25년4월29일에는 뒷 세입자를 안구하고 나가도 됩니다.

그리고 원래는 그전에 나가려면 세입자를 구하거나, 위약금을 내고 나갈수 있었습니다.


현재, 명의변경기간은 사라져 언제든지 뒷 세입자를 구하면 나갈수 있는데, 위약금 내고 나가는것이 불가능해졌습니다.


허나 계약서를 살펴보니

*특약* 에 써져있는곳에


“임차인” 이 제 10조의 규정을 위반하여 본 계약이 해제 또는 해지되거나 임대차 계약기준 중 “임차인”의 사유로 해지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임차인” 은 “임대사업자” 에게 위약금으로 임대보증금을 5% 이율에 따라 계약기간 동안의 임대료로 산정한 금액과 약정 월 임대료의 계약기간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한 임대료 총액의 100분 10을 배상한다.


라고 써져있는데 이조항을 참고해서 위약금 내고 나가는것이 가능할지, 만약 가능하다했을때 회사에서 안됩니다 했을 시 뭐라고 설명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현재 보증금은 1억6900, 월 임대료는 5만원이고

계약기간은 2022.4.29~2025.4.29 입니다

제가 계산한 위약금은 60만원 언저리인데 맞는지도 궁금합니다


나가려는 목적은 그냥 아파트로 이사입니다 계약조항 위반같은건 하지 않았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특약의 법적 효력에 대해서는, 특약이 주택임대차보호법 등 관련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 한 유효합니다. 그러나 임차인에게 불리한 특약은 효력이 없을 수 있으며, 갱신요구권 등 법에서 보장하는 권리를 제한하는 특약은 무효일 수 있습니다.

      위약금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계약서에 명시된 계산 방식을 따르시면 됩니다. 계약서에 따르면, 위약금은 임대보증금의 5% 이율에 따라 계산한 금액과 약정 월 임대료의 계약기간분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한 임대료 총액의 10%로 산정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계산해보면, 임대보증금 1억 6900만원의 5%는 845만원이고, 월 임대료 5만원을 36개월(3년)로 계산하면 180만원입니다. 이 두 금액을 합하면 1025만원이 되며, 여기에 10%를 적용하면 위약금은 약 102만 5천원이 됩니다.

      따라서 계산하신 60만원 언저리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계약서의 특약 조항에 따라 정확한 금액을 다시 계산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회사에서 위약금 지불이 불가능하다고 할 경우, 계약서에 명시된 특약 조항과 관련 법률을 근거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