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인데 비급여 얼마 정도 나올지 궁금합니다 발등골절
발등골절로 철심?4개박았습니다 그리고 손톱만한 인공뼈 넣었습니다 입원은 2차병원에서 최대3주 있을 수 있긴한데, 지금 자취중이라 혼자있을시 다칠 수도 있다고 건의 해 전원 해서 더 추가로 입원 할 수도 있는 상황이긴합니다
암튼 제가 다른 보험이 아예 없기때문에 비급여가 걱정되는데 얼마정도 나올까요? 전원하는게 비급여가 더 추가될려나요?
최대한 비급여 없이 치료받고싶은데…
한 비급여로 얼마정도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송진희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등 골절에 "금속고정(나사.판) + 인공뼈"까지 들어갔다면, 보통 비급여는 "수술재료 일부.마취비 일부.입원실 차액" 정도가 나옵니다.
대부분 케이스에서 "비급여는 20~60만 원대"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고, 특별한 재료(고가 나사.특수판)를 사용하면 "100만 원 내외"까지도 나올 수 있어요.
전원한다고 해서 비급여가 크게 늘지는 않고, "입원 기간이 길어지면 병실 차액(상급병실)"때문에 비용이 더 생길 수 있습니다.
최대한 비급여 줄이려면 "다인실 요청 + 추가 재료 선택 안함 + 물리치료 최소화"로 조절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보통은 수술시 사용하는 재료대가 비급여인 경우가 많습니다.
전원해서 물리치료하는데에 비급여는 많이 들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발등골절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비급여금액은 적용 항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해당병원 원무과에 문의해보시면 정확한 금액을 알 수 있을것입니다.
진료시 담당의사선생님께 보험이 없다고 말씀드리고 본인부담금이 들어가는 비급여항목은 받고 싶지 않다고 말씀드리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빠른 쾌유하시길 바라며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비급여비용의 경우는 각 병원마다 자체적으로 책정하기 때문에 필요시에는 진료비 내역서나 영수증을 발급받아보셔서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시에 사용된 인공뼈나 철심, 1인실 사용료나 일부 처방약 또는 물리치료비용등에서 비급여항목이 청구되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금액적인 부담이 있는 경우에는 주치의와 진료시에 상담을 통해 비급여 치료는 최대한 줄이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 산재 승인이 되신 상태라면 보통 모든 비용은 거의 요양비용으로 처리 되기에 별도로 개인 부담은 없습니다.
다만 필요한 비급여 치료라면 공단에서 처리가 가능하지만 질문자님께서 선택한 비급여 치료라면 개인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전원을 한다 하더라도 비급여 비용이 더 추가가 되는것은 아니며 산재 급여 기준에 맞는 병실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좀 더 자세한 내용은 산재 담당 직원 또는 원무과에 문의하셔서 최대한 비급여 치료없이 안내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