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아이를 방치하는 엄마들이 요즘 많은가요?!

요즘에는 엄마들이 아이를 돌보지 않는다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왜 이런 세상이 된걸까요? 예전과 다른 양육 방식이 왜 생겨난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어떻게 보면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개인주의 사회가 된 것이 결정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일부에서는 자녀를 출산한 후로도 아이들의 행복이나 아이들을 위한 헌신보다는

    자기 자신의 행복을 먼저 생각하는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이렇게 하다 보면 자녀 양육은 뒷전이 될 수 밖에 없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방치하는 엄마들이 많아진 이유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부분이 있어서 입니다,

    과거에는 정부에 지원 없이도, 육아를 했습니다.

    예를 들면 돌봄. 도우미.어린이집 이러한 시설에 도움 없이도 아이들을 다 케어 했었습니다.

    요즘은 정부에서 아이를 키워주겠다 라는 공식 선언을 했고, 아이를 키워주기 위해 좋은 헤택과 좋은 시설 그리고 좋은 교육을 제시하고 아이를 교육 + 보육를 하기 때문에 맞벌이 부모가 아닌 분들은 아이를 돌보지 않는 엄마들이 있으시지요.

    아이는 내 손으로 케어하는 것이 맞겠지요.

    물론 교육적인 부분은 지원을 받아야겠지만 아이를 시설에 장시간 맡기고 쇼핑을 한다거나, 여행을 간다거나, 외식을 하고 아이를 야간반 끝날 때 데리러 오는 등 이외 기타 등등의 선을 넘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방치라고 일반화를 하기에는 조금 어려움이 있을 듯 합니다. 다만, 요즘에는 맞벌이와 정보 과잉 등으로 양육 여건이 더 복잡해졌고 개인의 삶과 자율성을 중시하는 문화도 영향을 미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를 방치하는 엄마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듣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방치’라는 말의 정의와 양육 방식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거나 제대로 돌보지 않는 것을 '방치'라고 할 수 있지만, 이 문제를 이해하려면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요즘 부모들은 경제적 부담 때문에 많은 시간을 일에 투자해야 합니다. 특히 두 부모가 모두 일하는 가구가 많아짐에 따라, 자녀를 돌보는 시간에 제약이 생깁니다. 아이의 양육에 필요한 자원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부모가 외부에서 일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아이가 상대적으로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부모가 일에 몰두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아이들에게 심리적, 정서적 지원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양육에 대한 피로감이나 스트레스가 쌓여 아이에게 소홀해지거나 방치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부모의 불안정한 감정 상태가 자녀에게 전달되어, 자녀가 정서적 안정감을 찾기 힘든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최근 들어 많은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디지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등)를 많이 사용하게 하면서, 아이들이 상대적으로 혼자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는 일에 집중하거나, 자신의 시간을 보내기 위해 아이를 기기나 TV 앞에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보통이는 아이의 자율적인 활동을 보장하는 대신, 사회적 상호작용이 부족해질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와 사회가 함께 아이에게 필요한 지지를 제공하고, 적절한 양육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의 안전과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위해서는 부모의 적극적인 역할과 함께 사회적 안전망과 지원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신다면 아무래도 요즘 이러한 현상들을 이해를 하실 수가 있으실 겁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잘없어요

    티비나미디어에서자극적으로방송을많이해서그렇지 주변에 그런사람찾는게더힘들고 과거와비슷하답니다

    다만 지금은 과거와달리수면에올라와서 많게느껴지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부모의 역할이 과거와 달리 다양화되고 복잡화되면서 부모 자신도 정서적, 신체적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아이는 여전히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부모들이 경제적 이유로 직장 생활에 집중하는 상황에 놓입니다. 부모 특히 어머니가 직장에 다니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아이오 ㅏ보내는 시간이 줄어들고 가정에서의 돌봄 역할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많지는 않지만 꼭 한 두 명은 있는 것 같아요

    주로 맞벌이 가족이나, 부모가 젊은 경우 아이를 방치하는 경우가 많던 데요.

    부모의 개인주의적 성격과 육아에 대한 개념 부족이 원인인 것 같아요.

    주의에 시선도 무시하는 경우도 많아서 조언도 힘들 더라구요.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