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문구점 폐업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 어떠한 이유에서 인가요?

학교 자체에서 제공되는 물품이 많은 부분도 있고, 이커머스 상권의 발달, 그리고 다이소, 기타 경쟁 업체로 인해서 동네 문구점의 폐업이 많아지고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문구점의 폐업이 많은 이유는 학생수가 많이 감소했고, 온라인이나 마트, 무인점포 등 경쟁이 심화했으며, 학교에서 제공하는 준비물이 많아진 것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문구점에서 간식이나 오락을 즐기던 문화가 변화하여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사용이 많아지고 학교와 학원 중심으로 생활이 이루어지는 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경쟁사들의 출연이라 볼 수 있습니다. 위에 언급한 내용이 맞고, 대부분 문구류의 경우 다이소등에서 경쟁에 밀리고 온라인 쇼핑몰 등에도 경쟁에서 밀리게 되면서 일반 문구점들은 매출이 급감을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최근 무인문구점들이 입점을 하면서 점점 문구점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5년간 소상공인 문구점 수 약30~40% 감소했다고 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밀집 지역 이외의 문구점은 거의 사라지는 추세이고 반면, 온라인 문구 쇼핑몰과 팬시/디자인 문구 브랜드 매장은 증가 중이라고 합니다

    ,동네 문구점이 사라지는 6가지 핵심 이유

    1 학교에서 준비물 일괄 제공 → 개인 구매 감소

    2 온라인 쇼핑몰 / 이커머스 확대

    3 다이소 등 대형 할인점 경쟁 심화

    4 학령인구 감소로 전체 수요 축소

    5 놀거리/문화 소비 트렌드 변화

    6 입지 약화 + 유통 구조 혁신 부족

    이런 문구점 폐업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2011년부터 시행된 학교의 학습준비물 지원제도는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동네 문구점에서 학용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될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학교가 대형 유통업체와 계약해 학생들에게 직접 학용품을 제공하게 되면서 주변 문주점의 핵심 고객층이 크게 줄어드는 구조적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또한 저출산으로 인해 학령 인구 감소로 문구 시장 수요 축소에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으며 초등학생 등 기본 고객층의 감소는 문구점 존립 자체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으로 문구점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