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를 훈육하기 시작해도 되는 시기를 알려주세요.
임신했을 때 봤던 자료에서는 24개월까지는 훈육을 하면 안 된다고 나와있었거든요. 그런데 요즘은 신생아 때부터 훈육을 해야한다는 주장과 24개월부터는 자아가 생기기때문에 훈육이 어려우므로 그 전에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던데 어떤 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어느 정도 인지를 할 수 있는 시기인 18개월 이후부터는 단호한 태도로 훈육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하시느라고 수고가 많으십니다
훈육의 시기는 만3세 이후가 일반적으로 생각하거나 방송에서 소개하는 훈육의 적당한 시기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이 트이는 시가가 되면 훈육을 하셔도 됩니다.
막 논리적으로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아닌 잘못되고 위험한 행동에 대하여
하면 안된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히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아이를 양육하면서 뭐든지 다 해주고 싶은것이 부모 마음이지만 때로는 단호한 태도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4개월 전으로는 훈육이 잘 통하지 않습니다. 반복적으로 이야기를 해주는 정도이지요.
그러하기에 어느 정도 말귀를 알아듣고 생각할 수 있는 시기인 24개월 이후로 훈육을 권하고 있답니다.
그러나 아이의 기질과 성격에 따라 다르니 24개월이 조금 안 됐다고 해도 말귀도 잘 알아듣고 주양육자가 보실 때 훈육이 필요하다고 느끼실 때 그 때가 적기일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훈육시기의 결론부터 말해드리자면 돌 이후 부터 차차 교육을 시키면 되겠습니다. 보통 36개월 이후 세돌 이후를 많이 이야기 하는데 그 이유는 세돌 이후는 되어야 말을 잘 표현하고 알아듣게 되는 시기이기 상황에 대한 인관관계를 알게 되는 시기 이기 때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0살 아가들은 탐색하는 과정에서 뭐든지 입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아서 엄마들은 하루종일 안돼! 하지 마! 그만! 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훈육의 내용이 첫 돌 이전에는 주로 위험에 대한 저지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12개월이 지난 이후부터는 점차 옳은 행동과 옳지 않은 행동을 하나 둘씩 가르쳐 주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 훈육의 본격적인 시작인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능하면 36개월이 지난후에 훈육을 해주는것이 좋으며
이전에는 단호하게 안되정도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