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미뇽0417
미뇽0417

아기를 훈육하기 시작해도 되는 시기를 알려주세요.

임신했을 때 봤던 자료에서는 24개월까지는 훈육을 하면 안 된다고 나와있었거든요. 그런데 요즘은 신생아 때부터 훈육을 해야한다는 주장과 24개월부터는 자아가 생기기때문에 훈육이 어려우므로 그 전에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던데 어떤 게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어느 정도 인지를 할 수 있는 시기인 18개월 이후부터는 단호한 태도로 훈육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하시느라고 수고가 많으십니다

      훈육의 시기는 만3세 이후가 일반적으로 생각하거나 방송에서 소개하는 훈육의 적당한 시기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이 트이는 시가가 되면 훈육을 하셔도 됩니다.

      막 논리적으로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아닌 잘못되고 위험한 행동에 대하여

      하면 안된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히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아이를 양육하면서 뭐든지 다 해주고 싶은것이 부모 마음이지만 때로는 단호한 태도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경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4개월 전으로는 훈육이 잘 통하지 않습니다. 반복적으로 이야기를 해주는 정도이지요.

      그러하기에 어느 정도 말귀를 알아듣고 생각할 수 있는 시기인 24개월 이후로 훈육을 권하고 있답니다.

      그러나 아이의 기질과 성격에 따라 다르니 24개월이 조금 안 됐다고 해도 말귀도 잘 알아듣고 주양육자가 보실 때 훈육이 필요하다고 느끼실 때 그 때가 적기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훈육시기의 결론부터 말해드리자면 돌 이후 부터 차차 교육을 시키면 되겠습니다. 보통 36개월 이후 세돌 이후를 많이 이야기 하는데 그 이유는 세돌 이후는 되어야 말을 잘 표현하고 알아듣게 되는 시기이기 상황에 대한 인관관계를 알게 되는 시기 이기 때문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0살 아가들은 탐색하는 과정에서 뭐든지 입으로 가져가는 경우가 많아서 엄마들은 하루종일 안돼! 하지 마! 그만! 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훈육의 내용이 첫 돌 이전에는 주로 위험에 대한 저지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12개월이 지난 이후부터는 점차 옳은 행동과 옳지 않은 행동을 하나 둘씩 가르쳐 주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 훈육의 본격적인 시작인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능하면 36개월이 지난후에 훈육을 해주는것이 좋으며

      이전에는 단호하게 안되정도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