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이나 땅 공시지가는 항상 실거래가 보다 낮은 이유는 뭔가요?
우리가 주택이나 땅 아파트 등을 보면 항상 실거래가 보다는 조금 낮은 가격으로
공시를 하는데 왜 이렇게 실거래가 보다 낮게 책정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부의 정책적 조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공시자가는 정부가 정책적으로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가치를 100% 반영하지 않습니다. 실거래를 반영하게 된다면 소유자들의 세금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시지가는 한해를 기준으로 책정되지만, 실거래가는 매순간 변동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공시법에 따라서 공시된 토지의 적정가격이 “공시지가”이고 주택의 적정가격이 “공시가격” 입니다.
정부에서는 부동산가격공시제도에 따라서 매년 조사 평가하여 적정하다고 판단되는 가격을 공시하는데, 이러한 가격은 시장변동이나 부동산의 특징, 거래자 간의 협상 등 특별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적정가격을 결정하므로 실 거래가와는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점차 없애고자 공시지가 실거래가 반영률을 점차 높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시지가, 공시가격을 올리면 세금부담이 늘어나게되어 조세저항이 커지므로 2024년에는 2020년 수준으로 인하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토지 65.5%, 단독주택: 53.6%, 공동주택: 69%) 하지만 향후에는 점진적으로 점차 높아져 실 거래가에 접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시지가의 목적은 보유세등의 세금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즉, 공시지가가 실거래가와 동일해지면 기존보다 더 많은 세부담을 하여야 하는것이기에 국민들의 세부담이 커질수 있기에 실제 시세대비 60~70%정도로 산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책정방법과 주체도 다른데, 공시지가는 국토부가 산정한 표준지에 대한 공시가격을 기초로 각 지자체가 선정하여 매년 1회 공시하게 되지만, 시세는 말그대로 개인과 개인의 거래를 통해 형성된 가격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에서 정한 주택의 가격을 의미하며 부동산면적,주변환경,주소등을 종합하고 매년 첫날 적정한 기준이 되는 가격을 말합니다
그런데 실거래가는 부동산거래를 하고 30일이내에 관할관청에 거래신고를 하게 됩니다
실거래가는 공시지가가 발표후에 이뤄진 가격이기도 하지만 같을수는 없습니다
문정부시절에 실가를 따라잡으려고 공시가격을 올려서 세금이 많아져서 있는 사람들의 저항이 컸습니다
지금은 다시 공시가격을 내리고 있어서 다른 부분에서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시지가는 주로 세금 부과 기준이나 각종 공공행정 목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실거래가와는 다른 방식으로 책정됩니다.
실거래가는 시장에서 매도자와 매수자가 직접 거래를 통해 결정된 실제 가격으로, 시장 상황, 수요와 공급, 감정 평가 등 다양한 요인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반면, 공시지가는 시장의 변동성을 덜 반영하며, 일정한 기준에 따라 상대적으로 보수적으로 책정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공시지가는 정부에서 특정 기준을 바탕으로 설정한 가격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의 표준적인 가격을 의미하며 공시지가가 실제 거래 가격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시지가는 대게 세금 부과와 관련된 기준으로 설정되며 시장에서의 실제 거래 가격을 완전히 반영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