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2025년에는 좀 좋아질까요?
요즘 부동산이 최저라고 봅니다. 제 생각이 맞는건지... 미분양 지금줍줍하는게 맞는건지 얼마전만해도 올해가 최저라 했는데 요즘은 내년이 더 안좋아질꺼라는 얘기가 도네요. 내년 부동산 시장 어떡게 될까요. 전문가님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의 신규 입주 물량 감소로 인해 주택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면서 가격 상승이 예상됩니다.
지방의 경우 공급 과잉과 수요 감소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고 지방 부동산 투자 시 신중할 접근이 필요합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정책의 방향성과 그에 따른 시장 반응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에 맞는 투자 전략을 수립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단 현재로서는 25년 부동산 시장은 계속해서 하락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금리가 인하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12.3 사태 이후에 현재 내수 경기 시장은 얼어 붙은 상황이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전혀 예측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또한, 해외투자자들의 자금이 계속 이탈이 되면 주식 시장 등도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계속되는 정치 불안,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대기업 수출 부진 예상 등등...
전체적인 전망이 그리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내년도 부동산 시장은 역대급으로 얼어 붙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만약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25년도 하반기까지는 계속해서 부동산 시장을 주시하시면서 투자 시기를 고려해 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전국이 대통령 탄핵 문제로 한치 앞도 예측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기준금리가 내림에도 윤석열 정권은 대출 규제를 통해서 거래를 실종 시키고 집값을 잡기 위해 노력을 했습니다.
하지만 진보정권이 잡을 경우 시중에 돈을 풀 가능성이 크다면 금리를 내리고 대출규제로 어느 정도 풀어주지 않을까 생각이 되면 그렇게 되면 집값은 상승을 하게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24년도보다 25년이 더큰 하락폭을 보일것이며 가장힘든 한해가 될것으로 보입니다. 매수시점은 26~27년정도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적 차별화는 더 심해질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은 공급이 부족한데 똘똘한 한채를 위해서 상급지 이동이 많아진관계로 서울역시 가격차별화는 심해지고 있습니다
지방과 소도시들은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은 관계로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고 가격은 많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내년역시 부동산시장은 좋지 않을것으로 보입니다
여러가지 감안해서 투자를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대출규제를 전까지만 해도 부동산 시장의 흐름이 나쁘지는 않았던게 맞았고, 금리인하까지 시작되면서 기대감이 커진것도 맞습니다. 그에따라 내년도 대출규제가 어느정도 완화되면 상승을 기대할수 있는 여지가 있던게 맞지만, 현재 정치적불안감등으로 인해 내수경기나 경제전반회복이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진 점, 현재 미 대통령 트럼프 당선으로 삼성이나 대기업내 미국수출 및 지원등이 불투명해진점 모두가 악재로 작용될 가능성이 커진만큼 내년도에도 경기회복이 어려울수 있다는 판단이 커짐에 따라 부동산 시장도 대출규제가 완화된다고 해도 부동산 가격회복세가 나타날지는 불투명해진게 사실입니다. 그에따라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정확한 판단을 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어 향후 추세를 지켜봐야 할듯 보이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2025년 부동산 경기는 완만한 하락이 계속된다고 판단합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시장 흐름을 바탕으로 볼 때 부동산 경기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세력인 투자자들이 자금이 전혀 유입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들은 전문적인 투자자로서 나름대로 근거있는 판단을 하고 있을 것입니다.
금리, 공급가, 정책 등 여러 가지 원인을 따지고 있지만 코로나 이전에 비해서 주택부동산은 아직도 높은 가격 수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소득의 뒷받침 없는 실수요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도 하락폭은 크게 남아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