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후덕한라마카크119
후덕한라마카크11923.03.05
무역 적자가 심하다는데 진짜인가요???

무역적자가 역대급으로 안좋다고 기사를 계속보고있습니다.

진짜인가요?? 왜 그런 현상이 발생되는건가요?? 언제 다시 좋아질까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전년 동월(555억 달러) 대비 16.6% 줄어든 462.7억 달러이며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 3월 1400만 달러의 적자 이후, 11개월째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지난 1995년 1월~1997년 5월 이후 약 25년 만에 처음이였습니다.

    적자가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반도체 수출 악화가 가장큰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고 수출액은 60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8억 달러(-44.5%)나 감소했는데, 이는 1월 수출 감소분의 52%를 차지한 것입니다. 산업부에서는 “반도체 내 수출비중이 큰 D램·낸드 등 메모리반도체 제품 가격이 수요 약세, 재고 누적 등의 영향으로 급락하면서 수출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반도체 최대 수출시장인 대중 반도체 수출도 46.6%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31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이런 우리나라의 현황을 반영하여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2.0%에서 1.7%로 0.3%포인트 하향 조정하였는데 세계 경제 성장률(2.9%)을 기존 대비 0.2%포인트 상향한 것을 비롯해 주요국 전망치를 대부분 소폭 올린 것과 대비되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올해 1~2분기 중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는데 그중 한 요인은 한국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의 경기회복력에 그 기대를 걸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경기 모멘텀 회복에 따른 글로벌 제조업 및 수요 반등과 중국 리오프닝 효과를 기대하고 그로 인하여 2분기부터 국내 수출경기의 완만한 회복이 반등으로 이어질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요약하자면 첫째, 공급망 교란에 따른 현지 가공 생산 환경의 악화, 둘째, 이러한 배경에 의해 저가 중국산 제품 수요의 증가, 셋째, 우리 기업의 Asean Rush에 의한 현지의 한국산 제품 공급량 조절에 따른 비관세조치의 증가 등이 주요 요인으로 정리됩니다.

    먼저, 현재 인플레이션으로 인하여 원자재가격이 크게 상승한 상태입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과도한 유동성에도 있지만, 러우전쟁으로인한 일부 원자재의 품귀현상 그리고 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축소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것이 큽니다.​

    그리고 전세계적인 경기둔화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입니다. 현재 미국은 근20년동안 보기 어려웠던 연이율 5%의 시대에 들어서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금리가 인상되어 소비가 위축된 상황입니다.​

    따라서, 원자재를 수입하여 가공하여 판매하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원재료값은 오르고, 매출(수출)은 줄어든 것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력수출품(반도체, 자동차, 휴대폰 등)은 경기민감재로 분류되기에 지금과 같은 경기에서는 타격이 큰 상황입니다.

    결국, 최근의 수입 증가 원인의 대부분은 한국이 쉽게 통제할 수 없는 대변수들이어서 지금은 수출을 증가세로 돌려놓는 게 급선무입니다. 향후 수출 증가세가 꺾이고 수입은 계속 늘어나 무역수지 적자 구조가 고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편이기 때문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최근 무역적자 대부분이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등의 수입단가 상승으로 인해 나타났는데, 주요 원인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수급불안으로 급등하였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최대 수출 국가인 중국의 수입시장 위축되었습니다. 우리나라가 무역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국가는 중국인데, 현재 상황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실적이 중국 산업 경기 둔화와 연계되어 있는 만큼 당분간 수출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였습니다.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재고 누적 등으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한 것이기 때문에 글로벌 경기가 살아나서 수요가 증가하지 않는 한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된다면 적어도 올해 상반기까지는 무역적자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우리나라 유관기관에서도 전망하고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연간 무역적자 규모가 472억 달러에 달하며, 지난해 4월부터 1년 넘게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연간 기준으로는 금융위기 이후로 14년 만에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에너지 수입 급증으로,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원유, 가스, 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금액이 1908억 달러인데, 이는 2021년 대비 784억 달러 증가한 수치로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를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지난해 초 러-우 전쟁등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여 높은 가격에 에너지를 수입하다 보니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하였고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경기침체로 인해 반도체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수출이 둔화됨에 따라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도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반도체는 메모리 가격 하락에 따른 반도체 수출 급감이 수출 둔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만, 올해에는 에너지 가격이 작년에 비해 안정화될 것으로 보여 무역수지 적자폭이 작년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정책전환으로 생산 및 소비활동이 정상화되고 있는 부분도 우리나라 대중국 수출에 청신호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무역수지 관련 전망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30303_0002212946#_PA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30303_0002212944#_enliple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무역적자는 원자재가격의 상승 그리고 이를 잡기 위한 금리인상으로 발생한 경기둔화에 따라 발생한 것입니다.

    먼저, 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마비 및 러,우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수급 차질에 따라 현재 전세계는 원자재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모든 물품에 대하여 가격이 상승한 상태이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원자재를 수입하여 가공판매하는 국가에 대하여는 매우 안좋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여기에, 미국은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하여 공격적으로 금리인상을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경기가 둔화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원자재를 가공한 완제품에 대한 수요 및 투자로 줄어들게 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의 수출에도 타격이 온 상태입니다.

    즉, 수입가격은 상승, 수출량은 감소하여 현재 무역적자가 발생한 것이며 이러한 부분은 시간이 지낢으로서 러우전쟁이 종결되고 금리가 안정되거나 인하되면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현재의 무역적자 상황이 심각한 것은 맞습니다.

    최근 20년간 무역적자가 발생한 해는 2008년과 2022년이였습니다.

    또한 2023년 현재 무역적자가 상당히 큰 폭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정부에서는 수출의 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플레이션과 강달러 현상이 수입액을 늘리고 반도체 수출 등이 부진하면서 수출이 그만큼 따라주지 못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