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에 올인하는 재테크 플랜 어때요?
최근에 500에 대해서 알게 되서 그냥 여기다 모두 올인하는게 어떨까 합니다. 그동안 뭣도 모르고 들은 개인 연금이 3개 있는데 다 그냥 중도 해지하고 받은 금액 500에 묻어두려고 합니다. 그리고 현재 1억 전세인데 이거도 계약 끝나면 월세로 전환해서 8천 정도는 500에 묻으려구요. 그리고 월급의 반도 여기에 매월 묻으려구요. 어차피 어느 투자나 다 리스크가 있다면 여기가 그래도 가장 적고 또 리턴도 높다고 보여져서요. 제가 재테크는 크게 관심 없고 소같이 일하는 스타일이라 이게 가장 잘 맞는 플랜 아닐까 하는데요. 위험 요소등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8,000 정도면은 제가 지금 서울 일산에 빌라 한 채씩 대출 받아서 산게 있는데 임대 소득이 못 해도 50 정도씩은 나옵니다 선택지는 많이 있고요 8천만 원 정도를 현재 etf 배당주 느면 월 1% 약 80만 원이 한 달에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이거보다 더 큰 플랜을 짜겠다고 500에다가 넣겠다 위험부담은 있으나 정말 장기간 본다면 전문가들은 다 좋을 거다라고 얘기할 것 같네요 하지만 저는 조금 어려울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연금저축을 중도해지하는 것은 상당한 불이익이 있습니다. 중도해지 시 기타소득세 16.5%(지방소득세 포함)가 부과되며, 이는 이자금액뿐만 아니라 세액·소득공제 받은 원금에 대해서도 적용됩니다. 또한, 해지 당해연도의 불입액에 대해서는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분산투자가 중요합니다.!!!
모든 자산을 하나의 상품에 집중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S&P 500에 모든 자금을 투자하는 것은 분산투자의 원칙에 어긋나며,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기존 연금저축을 유지하면서 납입 중지나 유예 제도를 활용
S&P 500 외에도 다양한 투자 상품을 고려하여 리스크를 분산
전세를 유지하거나, 월세 전환 시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의 합리적인 방향을 투자계획을 세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S&P 500지수 투자는 장기에 수익률이 안전하고 높은 종목입니다.대신에 급한 돈이 생겨 중간에 매도하지 않아야 수익이 좋으니
어느정도 비상금은 빼놓고 장기적으로 묻어둘 수있는 돈을 투자해두시면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S&P500 지수 추종 상품 개인연금저축은 올인 한지 몇년 됐습니다 가장 안정적이고 확률 높은 투자라고 생각하거든요 장기투자로는 이게 제일 좋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물론 현재까지 수익률도 좋습니다
10년이상 투자가능하시다면 올인해도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워런 버핏도 본인이 죽고 나서 가족의 전 재산 중 90%를 에스엔피에 투자하라고 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만큼 이 지수가 안정적이면서 장기우상향 할 거라는 믿음입니다. 저도 장기간 보유를 목표로 하신다면 괜찮은 선택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