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구매할때 빚을 내서 사야할까요?
집을 구매할까 고민인데
빚을 내서라도 집을 구매해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전세나 월세로 사는 것도 괜찮을까요?
서울은 아니고 경기도 부근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경기도라면 그래도 새아파트들이 저렴한 집들이 있습니다
생활권이 그쪽이라면 서울의 전세값으로 한채를 구입해서 편하게 사셔도 좋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생활 방법을, 찾는게 최고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개인적 선택사힝이므로 확답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주거안정을 위한 목적, 매년 주택가격이 상승된다는 전제하에서는 주택을 구매하는게 유리한긴 합니다. 예전에는 돈을 모아 주택을 사기 매우 어려웠던 이유가 현 시점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돈을 모아도 그 시간만큼 주택가격이 더 빠르게 상승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일단 대출을 통해 주택을 구매하고 상환을 계속하다보면 주택가격상승에 따른 시세차익등이 이자비용으로 대체되기 뗴문에 결국은 주택은 빠른 시점에 구매하는게 가장 유리한다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최근에는 주택시장이 침체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말이 그대로 적용되기에 한계가 있는게 사실이나, 경기권도 아파트의 경우 평균 6억대 이기 때문에 개인이 모아 구매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가격대라는 점은 아직도 분명한 사실이기에 추가적인 주택 폭락이 없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지금일도 대출을 통해 구매와 주택유지가 가능한 수준이라면 구매를 하는게 더 나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젊고 지속적인 소득이 있다면 정도에 맞는 차입금을 활용하여 매수하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미래 경제력의 문제이므로 개인이 판단할 문제입니다무리한 대출은 안되겠지만 적당히 감내 할 수 있는 대출은 괜찮다고 봅니다.
나이가 30대, 40대가 되면 주거에 대한 안정이 생각보다 살아가는데 심리적으로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평생 내집 마련의 꿈은 투기가 아닌 건전한 구매자 입장에서 주택 가격이 기장 저렴할 때 구매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지만 그 싯점을 예측하기에는 너무도 어려운 문제라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주택 구매시기를 판단할 때 몇가지 일반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정부의 부동산정책의 의지, 정부의 아파트공급 계획(재건축 재발 방침) ,시장의 거래량 추세.경매시장의 분위기,건설업계의 동향,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 등을 분석하여 결정해야할 것입니다
저의 견해로는 현재 서울지역은 부동산경기가 살아나는 추세이지만 지방은 오히려 하강 추세이므로 당분간 무리한 대출을 안고 주택구입보다는 금년말 또는 내년 상반기 추세를 고려하여 판단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을 구매할까 고민인데
빚을 내서라도 집을 구매해야할까요?
==> 급매물 위주라면 구입을 할 필요가 있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구입을 서두를 필요가 없습니다.
아니면 그냥 전세나 월세로 사는 것도 괜찮을까요?
서울은 아니고 경기도 부근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경기도 부근도 위치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가 낮고 부동산 상승기에는 대출을 내어 집을 사도 괜찮은 시기이지만
지금은 금리가 높고 부동산 침체기 시기에는 매매 보다는 전세나 월세가 더 나은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간은 가격부담이 가장 큰 재화로써 대출을 실행하여 매매하는 것이 가장 빨리 부동산을 구입할 수 있는 길입니다.
재정적 부담이 안되는 선에서 대출을 일으켜 부동산을 구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신중히 결정해야 하는부분입니다. 대출없이 집을 사는 비율은 굉장히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