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휴일·휴가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

주4일제가 정착되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지금은 주5일제가 당연시되고있지만 토요일 근무를 안하면 큰일난다고 여겼던 시절이 있습니다.

그때보다더 진보한 주4일제가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사회적인 타협이 이루어지려면 많은 과제가 있을것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

    주4일제에 대한 논의는 나오고는 있으나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극명하여 빠른 시일 내에 안착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 현재 노동계 쪽에서 주 4일제 또는 주 4.5일제 근무를 도입을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다만, 실제 주 4일제 또는 주 4.5일제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기업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노동시장의 전체적인 입장에서 협의가 되고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쉬운 일은 압니다.

    일부 대기업에서 주 4일제 또는 주 4.5일제를 도입해서 시행하고 있는 곳도 있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주4일제 근무 관련하여서는 회사와 근로자간 합의에 따릅니다.

  • 주4일제는 업무 효율성과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가능성이 있지만, 사회적 합의를 위해 생산성 유지, 임금 보전, 고용 안정 등의 과제가 해결되어야 합니다. 기업과 노동자 간의 이해관계 조율이 필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사회적, 정치적으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진 이후에 결정이 될 문제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 입니다. 주 5일 근무가 가능했듯이 주4일 근무가 정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1. 주4일제를 시행하는 경우 여러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4일제를 도입하는 경우 근로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임금이 삭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속감, 조직 적응도 저하 근무시간이 줄어들면서 신규입사자의 경우 기업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직원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2. 우리나라에서 도입이 가능한지는 현재 시점에서 판단하기가 어렵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고용노동분야는 현재의 노동법에 관련된 상담을 하는 곳이고 주4일제가 정착되는게 가능할지는 모르죠.

  • 주 4일제를 시범적으로 실시하는 기업들이 있고 해외에서 이미 안착화된 사례가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주 4일제가 정착할 수 있으나 근무시간, 임금감소 등의 문제 등을 해결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 주4일제가 법제화 될지 여부는 현 시점에서 알수 없습니다. 다만, 회사 및 직무의 성격상 주 4일제를 도입한 회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 사회적인 타협이 이루어지려면 많은 과제가 있을것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네. 말씀하신것처럼 주6일제에서 주5일제로 바뀌는 과정을 비슷하게 거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