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겨울여름마더
겨울여름마더

대소변 훈련관련 궁금한점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20개월 남자아기이구요.

18~24개월쯤 대소변 훈련을 한다고 하길래

아기용 변기를 구매하여

아기랑 놀이하는거처럼 하면서 하규 있어요.

양변기,소변기가 있는데

기저귀를 갈아주면서 대변보고 싶어하는거 같아서

앉혔더니 힘을주고는 앉아서 소변만 찔끔 보더라구요.

그래도 잘했다고 칭찬해줬습니다.

처음엔 앉아서 소변만 찔끔보면서 점차 익숙해지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의 배변훈련을 하는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기저귀는 빠른 경우에는 18개월 후 부터 가리기 시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24개월 전후로는 20%정도가 낮 소변을 가릴 수 있고 30개월이 되어야 80%정도가 소변을 가릴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불편해 할 때,기저귀가 보송보송할 때, 혼자 숨어서 응가를 할 때,쉬,응아 한다고 표현할 때,대소변 간격이 4시간 이상 벌어질 때 등을 살펴보며 시작하는게 좋겠습니다.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배변 간격을 맞추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30분마다 변기에 간다던가 화장실을 간다던가 체크를 합니다.

    -배변 훈련을 하기가 가장 좋은 시기는 아이의 옷차림이 가벼운 여름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화장실이 가고 싶다", "대/소변이 마렵다"는 적절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표현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닌다면 기관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일관성 있게 하는게 좋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배변훈련은 아이마다 시기와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준보다는 우리 아이의 발달 상황에 맞게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18-24개월 정도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지만 더 늦게 시작해도 문제되지 않으며, 아이가 준비되었을 때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는 아이가 혼자서 바지를 벗거나 입을 수 있거나, 쉬나 응가를 하고 싶다는 의사표현을 할 수 있을 때를 말합니다. 배변 훈련을 시작할 때는 먼저 아이가 변기와 친해질 수 있도록 변기를 장난감처럼 가지고 놀도록 해주는 것이 좋으며, 변기에 앉았을 때 좋은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좋아하는 인형이나 캐릭터 스티커 등을 붙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때 강제로 기저귀를 벗기거나 강요하는 행동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실수를 하더라도 혼내지 않고 격려해주며, 성공했을 때는 충분한 칭찬과 보상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아이가 스스로 배변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면 밤 기저귀도 천천히 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의 배변 훈련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자주 대.소변 기르기 훈련을 하신다면 아이는 조금씩 대.소변 기르기 훈련에 익숙해지면서 조금 더 성장을 하게 될 것입니다.

    처음이 어렵지, 자주 연습을 반복하다 보면 아이는 성장을 하게 되게 될 것 입니다.

    대.소변 기르기에 중요한 점은 아이에게 이제는 기저귀와 안녕 인사를 헤어지고, 새로운 변기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야 함을 아이에게 알려주고, 아이 스스로 기저귀와 헤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마음의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

    또한 아이의 대.소변 기르기 사인을 케치하여 하고, 아이가 어느정도 언어적 소통이 가능해야 대.소변 기르기 훈련을 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20개월이면 조금 빠른 감은 있습니다 기저귀 떼기 시기는 아이와 소통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소변이 마려운지 대변이 누고 싶은지 의사 표현이 잘 되기 때문 입니다

    칭찬 하시는 것은 매우 잘 한 행동 입니다 아이가 잘하고 있고 엄마가 긍정 적인 신호를 보낸다고

    생각 하면 아이는 자기가 한 행동이 맞다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대변과 소변의 느낌을 확실하게 알수 없어 응가라 이야기 하고 소변을 볼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