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나라의 무역적자 어디서 나오는걸까
우리나라는 아무래도 삼면이 바다인지라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입니다. 그런데 뉴스를 보면 자꾸 무역적자라는 소리가나는데 왜그러죠?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무역적자란 외국과의 거래에서 우리나라가 손해를 보는 것을 말합니다. 즉, 다른 나라로부터 사들인 물건이나 서비스가 판 물건이나 서비스보다 더 많다는 의미인 것입니다. 무역적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경기 침체, 경쟁력 약화 등이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원유, 가스, 석탄 등의 에너지 자원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 상승이 무역적자 확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역적자가 항상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일시적인 현상이거나, 특정 산업의 성장을 위한 투자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무역흑자가 반드시 좋은 것만도 아닌 것이 과도한 무역흑자는 국내 경제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외환보유고 증가로 인해 금융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도 있는 것이니 무역 적자 및 흑자는 균형있게 경제 상황에 맞게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작년의 한국의 수출 상황은 여러 측면에서 다양한 동향을 보였습니다. 반도체를 비롯한 여러 품목은 글로벌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출이 감소했으며, 특히 반도체는 23.7%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자동차, 일반 기계, 선박 등 일부 품목은 전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19.9% 감소하며 1,248억 4천만 달러로 축소되었고, 반면 미국으로의 수출은 자동차, 기계, 이차전지 등에서 호조를 보이며 1,157억 달러로 증가하여 2005년 이후 18년 만에 아세안을 제치고 2위 수출 시장으로 회복되었습니다. 전년과 마찬가지로 지난 해도 무역적자가 발생했으나 규모는 축소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무역적자란 외국과의 거래에서 우리나라가 수취한 외화가 지출한 외화보다 적은 상태를 말합니다. 즉,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 돈 보다 해외로 유출되는 돈이 더 많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무역적자는 일반적으로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런것 만은 아닙니다. 특정 재화의 수입 급증이나 해외 투자로 인한 배당금 지급 등의 이유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반도체를 비롯한 컴퓨터(-53.3%), 바이오헬스(-18.0%), 석유제품(-17.0%), 석유화학(-15.9%), 디스플레이(-12.1%), 섬유(-11.2%), 무선통신(-10.2%), 철강(-8.4%), 이차전지(-1.5%), 차부품(-1.5%), 가전(-1.0%) 등 나머지 12개 제품은 수출이 감소한 이유로 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9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무역적자가 지속된 것은 재작년과 작년으로 15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작년과 재작년에 무역수지 적자를 오랜 기간동안 기록한 것은 반도체 등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의 수출 감소 및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수입액이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2022년 및 2023년의 무역적자 상황은 우리나라 수출 최대품목인 반도체수출의 부진과 최대 수출국가인 중국으로의 수출부진이 가장 큰 사유라고 보여집니다.
다만, 2023년 하반기부터 무역적자의 상황이 개선되었고, 올해부터는 다시 무역수지 흑자전환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는 환율상승 및 원자재 가격 상승에 기인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원자재 수입 및 가공판매를 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가공무역을 행하고 있습니다. 이때 가공무역시 원자재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역마진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지불대금이 환율에 따라 증가하기에 무역적자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현재는 자동차, 반도체의 턴어라운드로 다시 흑자전환중인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적자의 원인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와로 인한 에너지 가격의 급등에 따른 수입 증가와
중국의 반도체 수출감소가 주요 원인입니다.
최근에는 이스라엘 - 하마스 전쟁도 무역적자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