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풍족한직박구리212
풍족한직박구리212

패시브하우스를 짓는데 비용이랑 등등. 궁금합니다?

패시브하우스가 냉난방비도 적게 들어서 좋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정작 시공비용이 너무 들면 엄두가 안날것 같기도 합니다.

실제로 들어가는 비용과 서울경기권에서도 시공한 사례가 있는지와 지열을통해 온도를 조절하기위해 땅에지하수 팔 때처럼 구멍을 깊게 파는 공사가 필요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패시브하우스 건축비용의 경우 일반적으로 평당(3.3제곱미터) 1000만원에서 ~ 1500만원으로 추정할수 있는데, 이는 건축물의 규모와 디자인 복합성, 사용하는 자제의 종류와 품질, 시공업체의 경험과 기술수준등에 따라 달라질수 있습니다. 해당 건축비는 일반건물 건축비의 20~50%까지 평균적으로 더 높다고 볼수 있습니다. 참고로 부지비용을 제외한 단순 건축비용만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패시브하우스는 주로 단독주택에 대해서 건축을 하기에 실제 경기권내 양평등 전원주택이 많이 있는 지역에는 존재하고 있고 세부적인 공사과정은 알수 없어 위 답변이 어려우나 패시브하우스의 주요 건축방식은 단열효과를 극대화하여 내부의 에너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 열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우체국이 실제 패시브 하우스 기준에 준하는 건물로 지어졌으며 판교, 광교쪽에 패시브 하우스 인증 주택도 점차 늘고 있습니다.

    패시브하우스에 지열 냉난방을 이용할 때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천공을 파는 공사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덕성 공인중개사입니다.

    패시브하우스는 일반 주택보다 단열, 기밀 창호 성능을 최고 수준으로 맞추다 보니 건축비가 보통 평당 650만으로 일반주택 대비 20% 정도 추가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신 난방, 냉방비는 최대 80~90% 절감돼서 장기적으로는 유지비에서 절약이 가능하니 이득입니다.

    서울 경기권에도 단독주택이나 다세대주택 형태로 이미 시공된 사례가 있고, 실제 입주 만족도도 높은 편입니다.

    지열 시스템을 쓰려면 말씀하신 대로 100m 이상 깊게 땅을 파서 열교환기를 넣는 보링 공사가 필요합니다.

    비용은 규모에 따라 보통 3천만~5천만 원 정도 추가로 들어갑니다.

    그래서 무조건 지열을 쓰기보단, 고효율 히트펌프나 보일러로도 충분히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 참고하시면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패시브 하우스는 고단열, 고기밀 설계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지만 초기 시공비는 일반 주택보다 15~30% 높습니다. 서울, 경기권에서도 시공 사례가 있으며 지열 냉난방비를 설치할경우 지하수는 개발처럼 깊게 굴착하는 공사가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패시브하우스 초기비용은 상대적으로 높아 평당 500-800만원 내외로 잡으시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서울, 경기권에도 인증한 다양한 시공 사례들이 있고 지열 냉난방을 원할 때는 지하수 시공처럼 깊은 천공작업 공사가 필요하지만 최근에는 공기열 히트 펌프 방식도 있어 덜 깊게파는 공사도 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패시브하우스는 단열·기밀·창호 성능 등을 극대화해서 난방이나 냉방을 거의 하지 않고도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성능 주택입니다

    냉난방비가 일반 주택 대비 80~90% 절감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용은 일반 주택보다 10~30% 더 비싸지만, 장기적으로 유지비 절감이 된다고 합니다

    서울·경기권에도 다수의 시공 사례가 있습니다.

    성남 판교 제로에너지 타운: 국토부 시범사업으로 진행된 패시브하우스 단지

    용인, 남양주, 파주, 광주 등: 개인 단독주택으로 시공된 사례 다수

    서울 시내: 주로 협소주택 또는 리모델링 형태로 일부 시공

    국내에서도 패시브하우스 인증(PHI, Passivhaus Institute) 또는 국토부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ZEB)을 받은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지열 사용하려면 구멍을 보통 100m 이상 시추 필요하다고 합니다

    비용도 상당하다고 하니 패시브하우스 시공 경험이 있는 전문 시공사와 상담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