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부동산 가격이 메리트가 생겨서 기업형 부동산 재벌들이 국내에 들어온다고합니다
국내 부동산 가격이 메리트가 생겨서 기업형 부동산 재벌들이 국내에 들어온다고 합니다
런던 뉴욕같은곳은 월 200만원 300만원돈일때 같은평수가 100만 150만이라고 하니 서울같은 메가폴리스가 가격이 싸다고 하는데 만약 기업형 부동산이 들어오면 일반부동산들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정확히 기업형 부동산들이 국내 진입하는 것은 정부가 이번에 임대주택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면서 국내부동산을 통한 임대수익을 얻고자 진출하는 것으로 볼수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사실 보증금에 대한 개념이 없고 렌탈의 개념이기 떄문에 부동산에 따른 단순 월임대수익은 우리나라보다 높은 편이지만 국내의 경우 임대차수요가 많은 점과 공동주택중심으로 주거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부동산 단위당 계약하는 세대수가 더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외국기업의 임대업은 주택시장내 공급을 증가시켜주는 장점이 있지만, 임대료상승등에 따른 주거비용 부담이 증가할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의 부동산 임대사업체가 한국의 임대사업을 대상으로 투자대상을 삼아 잔출 게획을 준비하거나 영국의 펀드 회사가 펀드를 조성하여 한국부동산업에 진출한다는 기사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외국 자본의 투자를 환영하고 있지만
종래의 우리나라의 부동산 안정화 정책과 마찰울 빚을 때 문제점이 노출 될 수도 있습니다
와국의 거대한 대 자본이 주거지역의 고급화로 임대료의 기본체게를 흔들 때는 우리의 부동산 정책과 역행하는 결과를 에측할 수 있기 때문에 글러벌 경제 체제에서 정책당국은 충뷴헌 검토와 사전 분쟁예방을 위한 정책개발이 요구된다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기업형 부동산이 들어오면 월세가 오를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다보면 일반 집들도 가격을 올릴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세제도가 점점 줄어들어서 월세시장이 커지고 있는거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같은 메가폴리스에서의 부동산 가격이 뉴욕, 런던 등 글로벌 도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해 투자 매력이 큽니다.
한국의 월세 및 전세 시스템은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주택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은 서울이나 수도권 지역은 투자 가치가 더욱 높습니다. 외국 자본이 주택 시장에 진입하면 임대료 상승 압박이 커져, 중산층 및 서민들의 주거 부담이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적으로 기업형 부동산 재벌들의 국내 진출은 단기적으로는 부동산 시장에 활력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임대료 상승과 중소 부동산 업체의 위축 등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와 시장 참여자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기업형 부동산이 들어오면 일반 부동산 시장에 여러 가지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업형 부동산은 대기업이나 전문적인 부동산 개발업체 등이 투자하거나 운영하는 회사 입니다. 기업형 부동산이 국내에 들어오면 기존 일반 부동산 및 국내 민간 업체와 경쟁을 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임대시장 임대료를 올리는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시장 분석을 철저하게 하지 않으면 예전의 까르푸처럼 철수할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