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전이전이
전이전이

뉴욕증시와 코스피 격차가 커지는 이유는?

뉴욕증시는 연신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데 우리 증시는 왜 이렇게 박스권에서 맴돌고 있나요? 언제쯤 코스피가 미증시와 격차를 줄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코스피와 뉴욕증시 간의 격차가 왜 발생하고 있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는 세계 최대 규모이며, 기업들의 규모와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이로 인해 미국 증시는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입니다.미국 기업들은 혁신적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술 기업, 금융 기업, 소비재 기업 등이 미국 증시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은 미국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Fed가 금리를 인하하거나 유지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한국의 금리 정책도 코스피에 영향을 미치며, 금리 변동은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증시는 기술 기업, 플랫폼 기업, 바이오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코스피는 반도체, 제조업, 금융 등의 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 등 국제 정치적 요인이 증시에 영향을 미칩니다. 투자자들의 심리와 기대는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긍정적인 기대는 주식 시장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코스피가 미증시와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업 실적 개선, 금리 정책, 정치적 안정, 투자자 심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노력이 필요합니다.

  •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경제규모가 훨씬크고 소비성향이 큰 시장인데 코로나 시절 경기 부양을 위해 풀었던 자금으로 유동성이 풍부해지며 소비가 살아났고,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유럽이나 코로나와 부동산 문제로 경기가 침체된 중국과 달리 풍부한 에너지(전세계 석유 생산량 1위)와 AI등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어 오히려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우려하여 금리를 올리고 있는 상황인데 최근에는 점차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내수 규모가 작아서 수출을 해야 하는데 코로나 여파와 중국의 침체로 수출이 급감하고 전기차 시장의 붐이 가라 앉고 금리 상승에다가 반도체 경기 둔화와 AI 수요에 있어 중국의 TSMC에 국내 기업들이 밀리는 모습을 보이며 주가가 탄력을 받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현 상황이 유지될 것으로 보이지만 국내 주식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졌기에 향후 조건이 맞아지면 다시 상승할 여력이 있습니다.

  • 우리 경제는 발전이 없는데 미국은 계속 발전을 하고 있으니까요.

    단기적인 흐름으로야 격차가 줄어들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 나라의 격차가 계속해서 벌어질텐데 주식 격차가 더 벌어졌으면 벌어졌지 줄어들것 같지는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뉴욕증시는 엔디비아 실적기대감 속에 증시 낙관론 부각등에 힘입어 오르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이 대부분 하락해서 증시가 또 떨어졌습니다

    언제나 오를지 매일 기대해보지만 희망이 안보입니다

    그냥 잊고 있어야 정신건강에 좋을거 같습니다

    좋은날을 기대해봅니다

  • 뉴욕증시와 한국 증시의 움직임은 각 나라의 경제 상황, 기업 실적,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 미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고 기업 실적이 호조를 보이는 것이 미국 증시의 강세를 이끌고 있습니다. 한국 증시는 미국 증시와는 다른 경제적 상황과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스권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 미국은 기술주를 중심으로 상승을 거듭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삼성전자의 부진과 기업들의 실적 부진, 또한 중국증시의 부진속에 중국의존도가 높은 한국증시도 부진, 지정학적 위치인 북한의 도발등 한국증시는 어느정도 한계가 있는것으로 사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