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기타 영양상담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찰흑미쌀은 백미, 현미와 비교했을 때 영양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나요?

백미와 현미는 한품종에서 두개로 나누어진다고 할 수 있지만

찰흑미쌀은 품종자체가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찰흑미쌀의 경우 백미와 현미의 영양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찰흑미쌀도 하루 권장량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백미와 현미의 차이는 벼에서 오는 것입니다

    벼가 쌀이 되는 과정에서 "도정(껍질을 벗기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때, 도정을 완벽하게 하면 백미

    완벽하지 않게 대충(표현적으로)하면 현미가 됩니다.

    백미는 전부 당(전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미의 경우 당(전분)과 함께 식이섬유, 생리활성 물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맛의 경우 백미가 더 맛있고, 현미가 조금 거친 조직감을 가지고 있어 푸석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흑미(또는 찰흑미)의 경우, 백미와 현미에 안토시아닌이라는 성분이 다량 함유된 종입니다.

    안토시아닌의 성분은 보통 보라색으로 나타내는데 너무 많으면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흑미의 경우에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서 항산화 효과, 눈 건강 등에 좋습니다만 가격이 조금 높습니다.

    보통 흑미만 먹는 경우는 없습니다.

    백미 또는 현미과 섞어서 먹습니다.

    그러나 특정 권장량과 기준치는 없습니다.

    섭취하고 싶은 만큼 드셔도 무방합니다.

    (가격이...나갑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찰흑미쌀은 안토시아닌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백미보다 영양가가 높고, 현미보다 소화가 잘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백미와 달리 식이섬유와 비타민·미네랄도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어 건강식으로 적합합니다.
    하루 권장량은 따로 정해진 것은 없지만, 일반 쌀과 같이 1일 1공기 정도를 기준으로 다른 곡류와 함께 균형있게 섭취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찰흑미쌀은 일반 백미 현미와 달리 품종 자체는 다르고, 쌀껍질에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해서 항산화 성분이 특징이 되겠습니다.

    백미는 도정 과정에서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이 많이 손실되니 주로 탄수화물 위주인 반면에 현미는 껍질과 배아가 살아 있다보니 섬유소, 비타민B, 마그네슘, 철분이 풍부합니다.

    찰흑미쌀은 현미와 비슷하게 껍질층을 유지하면서 색소로 인해 항산화력이 더 높고 혈당 상승을 완만히 하는 식이섬유와 미량 영양소가 풍부해서 항산화력은 더 높고 혈당 상승을 완만히 하는 식이섬유, 미량 영양소가 풍부해서 면역력, 혈관 건강에 유익하답니다.

    하지만 찰 성분으로 인해서 소화가 잘되지만 과다 섭취에 탄수화물 과잉이 될 수 있으니, 일반적인 곡류 권장량처럼 하루 1~2공기 분량인(150~200g 조리 전 기준)을 적정선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백미보다는 현미, 찰흑미쌀이 영양상 이점이 크고 다양하게 섞어 드신는 것이 균형이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