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식습관·식이요법

sheherherhers
sheherherhers

흰 쌀밥을 먹으면 당이 높게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다른 현미나 잡곡에 비해서요.

보통 쌀을 먹을 때 당이 높게 올라가는 사람들에게는 흰쌀밥을 먹지말고 현미나 잡곡을 먹으라고 합니다.

이러한 현미나 잡곡을 먹으면 당이 적게 오른다고 하는데, 흰살밥을 먹으면 당이 많이 오르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보면 될까요?

그리고 당이 높은 사람들이 먹으면 좋은 음식은 무엇이 잇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흰쌀밥을 먹었을 때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는 이유는 정제 과정에 있습니다. 현미를 도정하여 껍질과 배아를 제거하면 남는 것이 바로 흰쌀인데, 이 과정에서 식이섬유와 영양소가 대부분 손실됩니다. 식이섬유는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하는데, 흰쌀밥은 이러한 식이섬유가 적어 섭취 시에는 탄수화물이 빠르게 포도당으로 분해되어 흡수되므로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합니다.반면, 현미나 잡곡은 식이섬유와 단백질이 풍부하여 소화 흡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혈당을 완만하게 올립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나 혈당 관리가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현미나 잡곡밥이 권장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호연 영양사입니다.

    흰 쌀밥의 혈당 지수는 식품의 혈당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높은 편으로 분류됩니다. 보통 흰 쌀밥의 혈당 지수는 70에서 90사이로 나타나는데 이는 과도한 섭취시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키는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흰쌀밥은 다른 잡곡에 비하여 정제되어있는 상태이기때문에

    혈당을 급격히 올릴 수 있으므로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유의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잘 확인했습니다.

    가공 정도와 섬유질의 차이 때문입니다.

    몇 가지 정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차이

    흰쌀밥은 도정 과정에서 껍질, 쌀겨, 배아를 제거하고 속살 전분만 남습니다. 이 전분은 대부분 정제된 탄수화물이라 소화, 흡수가 매우 빨라 혈당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현미나 잡곡은 껍질과 섬유질이 남아있어 소화 흡수가 느려집니다. 섬유질이 소화 속도를 늦추고 위 배출을 지연시키며 혈당상승을 완만하게 만들어서 혈당지수가 낮습니다. 따라서 혈당이 천천히 오르고 인슐린 부담은 줄어들게 됩니다. 같은 양의 쌀이라도 가공 정도와 섬유질 함량차이가 혈당 반응을 크게 좌우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음식

    혈당 관리가 필요하신 분들에게는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이 필요합니다. 현미, 귀리, 보리, 퀴노아, 렌틸콩, 병아리콩, 엠버밀 등 이런 복합 탄수화물과 식이섬유가 많은 식품은 혈당을 천천히 올립니다. 생선, 두부, 달걀, 견과류, 올리브오일은 포만감 유지와 혈당 변동이 적습니다. 과일중에서도 블루베리, 딸기, 사과, 배 같이 과당은 있어도 섬유질과 함께 있어 혈당 상승을 방지합니다. 그 외에도 된장, 김치, 사워크라우트, 그릭요거트는 위와 장 건강을 개선해주고 혈당 조절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줍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