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싱크홀 위험이 가장 큰 지역은 어딘가요?
최근 서울 강동구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종종 싱크홀이 발생해서 걱정죄는데, 서울에서 싱크홀 위험이 가장 큰 지역은 어딘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시에서 특히 송파구, 강동구, 마포구, 여의도 등 다수 지역이 한강매립지로 지반이 모래아 자갈 등으로 되어 있어 지하수가 잘 흘러가서 땅속에 구멍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최근 지하철과 터널, 상하수도, 가스관 등의 공사에다가 지하 공간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는 곳 주변에 싱크홀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특히 하수도관 등이 노후되며 하수가 누출되어 토사가 쓸려나가고 공간이 발생하다가 싱크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에서도 최근 대형 싱크홀 들이 계속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서울의 강남 지역은 인구 밀도가 높고 지하철 노선과 대형 건축물이 많이 밀집한 지역입니다. 특히 지하철 공사와 지하 공간 개발이 많았기 때문에 지하 구조물과 지하수 흐름에 따르 지반 약화가 싱크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로구와 금청구는 산업단지와 오래된 건물들이 많은 지역으로 지하 개발이나 지하수 관리의 문제로 인해 싱크홀 발생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오래된 상업지구나 산업지구에서는 지하 시설이 많고 지하수나 유류가 새는 등의 문제로 지반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위와 같은 싱크홀 위험이 높은 지역을 설령 과학적으로 조사연구하였다고 하더라도 실제 이를 공개발표하기는 쉽지 않아보입니다 , 이유는해당 지역으로 선정될 경우 그 지역 거주수요는 급격하게 줄어 들게 되고 이는 부동산 가격의 폭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단순 가능성만으로 이러한 사태를 지자체나 정부가 감당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보면 국민의 안전과 보호를 위해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자료를 발표할 경우 이에 해당되는 지역내 주민들의 반발, 해당 지역부동산 붕괴등은 실제 발생되는 사건으로 이어질수 있기에 발표를 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로 이번 강동구 싱크홀로 인해 서울시에서는 지하침하 가능성을 1~5등급으로 분석한 인전지도를 작성하여 특별점검에 나섰지만 이에 나타난 위험지역은 공개를 할수 없다고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최근 서울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로 인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전역에서 싱크홀이 발생하고 있지만, 특히 송파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송파구 지역의 지반 특성이나 도시 개발 과정에서의 지하 구조물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따라서, 싱크홀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송파구를 포함한 지반 침하가 우려되는 지역에서의 안전 점검과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거지나 상업지구를 선택할 때 이러한 지반 안정성 정보를 확인하고, 지반 공학적 검토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10년간(2014년~2023년) 서울에서 발생한 싱크홀(땅 꺼짐) 사고는 총 216건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이러한 사고는 용산구, 강남구, 동대문구, 성북구 등 인구 밀집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며, 특히 상하수도관 누수로 인한 지반 약화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서울 전역에서 싱크홀 발생 위험이 존재하지만, 특히 인구 밀집 지역을 조심해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서울 강동구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사망자가 나왔습니다. 종종 싱크홀이 발생해서 걱정죄는데, 서울에서 싱크홀 위험이 가장 큰 지역은 어딘가요?
==> 서울지역은 지하에 각종 구조물 등이 있어 어디서 싱크홀이 발생될지 모릅니다. 그러나 가장 취약한 지역은 현재 지하철을 공사하는 지역에 해당될 수 있는 만큼 운에 맞겨 생활을 하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