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20건의 질문
- 임금·급여고용·노동Q. 주휴수당 계산어떻게해야하는건가요?매일근무 시간이달라지는데이럴때는 주휴수당계산을 어떻게해야하나요?Ex) (일주일 총근무시간) 나누기 40 x 8 x시급아니면 그냥 5시간x 시급으로 해야하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격주 금요일 휴무자 소정근로시간 계산하기(격주라서..?) = 36시간 *36시간 ÷ 40 x 8 = 7.2시간 (주휴시간)*(36시간 + 7.2시간) x 4.345 = 188시간월소정근로시간 188시간
- 임금·급여고용·노동Q. 아르바이트 급여 관련 급한 질문입니다확인했습니다.4. 급여 계산 상으로는45, 000 x 6= 270 ,000 에 주휴를 포함한 급여가 월요일에 주급으로 들어와야 한다는 계산이지만(18/40) x 8 x 45, 000 = 162,000이 더 가산된 43만 2 천 원 이 월요일에 주급으로 지급되는 게 맞는 지 궁금합니다.5. 회사의 급여 미지급 시 3번 같은 상황 때문에 좀 걸리긴 하지만, 고용노동부에 신고가 가능한지도 여쭙고 싶습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월급제 체계에서 주휴수당 삭감 시 계산방법/ 40 X 8 X 통상시급 - 기본적인 주휴수당 계산방법
- 휴일·휴가고용·노동Q. 주 40시간 근로자가 5일 중 하루를 조퇴했을 경우 주휴수당 문의36시간이 되지 않습니까?질문 1. 그렇다면 그 주 주휴수당도 36/40 x 8 x 시급으로 계산되어 줄어들게 되는 건가요?질문 2. 만약 주휴수당이 줄어든다면, 무급 휴무일인 토요일에 소정근로시간 40시간에 미달되는 시간만큼 추가 근무를 하여 40시간을 채운다면 주휴수당도 최대치를 다 받을 수 있을까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주6일 공휴일 근무 시 시간외수당 계산일요일 휴무 월화수목금토 6일간 1일 8시간 근무하여 주48시간 근무하였을 때 급여 계산이 궁금합니다.1. 주40시간 근무까지는 시급으로 측정되므로(시급 x 40 x 1) + (시급 x 8 x 1.5)이렇게 계산하는게 맞나요?2. 만약 금요일이 공휴일이었다면 금요일 근무는 휴일근무+시간외근무로 계산해서(시급 x 40 x 1) + (시급 x 8 x (1.5+0.5))이렇게 계산하는게 맞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주 2일 근무 주휴수당 계산 알려주세요(1주 소정근로시간 / 40) X 8 X 시급3. 주휴수당 일당 = 시급 x 근무시간 x 0.5 주휴수당 총액 = 주휴수당 일당 x 주휴일 근무일수4. 주휴수당은 10,000원의 50%인 5,000원입니다.등등 하나도 모르겠어요 정확히 계산법 알려주세요 토.일 8시간 근무시급 11,000원*여기서 만약 제가 1시간을 쉬지만 바빠서 1시간 못쉴때도 있고 30분만 쉴때도있는데이 안쉰거는 수당으로 쳐주는데 안쉰것도 주휴수당 계산 시간에 포함이 되나요 ?그리고 일주일에 한번이니깐 만약 한달에 일요일이 4번이면 주휴수당*4일 일요일이 5번이면 * 5일 이렇게 계산하면 되나요 ?
- 임금·급여고용·노동Q. 월급제 체계에서 주소정근로 미충족 시 주휴수당 삭감월급제(본봉+각종 수당)로 급여를 지급하는 회사에서근로자가 근로자귀책사유(무급휴가, 휴직 등)로 주 소정근로시간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월급에서 주휴수당(주소정근로시간/40 X 8 X 시급 )만큼 일할해서 급여를 깎는 것에 법적 문제가 있을까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주휴수당계산방법 뭐가맞는건가요?안녕하세요주휴수당계산방법을 모르겠어서요매일 매주 시간이 다릅니다주15시간이상 주40시간미만Ex) 월-금5시간근무5,5,4,5,5시간 이럴경우 (일주일총근무시간)24시간 나누기 40 x 8 x 시급이맞나요? 47328원아니면 그냥 시간상관없이 5x시급이 맞나요?49300원
- 임금·급여고용·노동Q. 편의점 월급 계산 관련해서 궁금점이 있러요X 8일 X 9860(최저시급) /788,800원주휴수당 - 20/40 X 8 X 9860 X 4번 / 157,760원788,800 + 157,760 = 946,560여기서 수습기간과 4대보험을 적용했을 때 급여가 어떻게 되나요?(적용순서) +(둘다 전체금액에 적용후 차감을 하는건지 4대를 적용해 차감후 그 금액에 수습을 차감하는건지 정확히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