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12건의 질문
- 임금·급여고용·노동Q. 월지급금중 연차수당지급금 에대하여 문의합니다?보안경비회사에 (주간(08~18시/10h근무에 휴무1h*2일)야간(18~익일08h/14h근무에 휴무3h)기준(주주야야비비)스케줄 근무하고 있읍니다.수당지급은 매월 급여에 포함되어서 지급되는데 통상임금8h 기준이아닌 7h(67200원)기준으로 지급되는데 회사에서는 정확한 답이 없기에 전문가분들에게 도움을 바랍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건설현장소장을 1년 계약직으로 채용하려고 하는데 급여구성의 문제가 있을까요?올해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에따라 건설현장 수주 이후 현장소장을 채용하고자 합니다급여의 구성을 <기본급+시간외수당(5h)+연장수당(7h)+식대>로 구성하려고 합니다주52시간 근무에 맞춰서 시간외수당과 연장수당을 총 12시간으로 구성했습니다연차수당과 퇴직금은 별도로 지급할 예정이고 기타 상여, 성과 및 수당은 없습니다1. 위와같이 급여를 구성할 경우 근로기준법상 위법한 여지가 있을까요?2. 만일 현장소장이 퇴사한 이후 52시간 이상 근무했다는 출력일보 등을 제시하며 위 급여 이외의 기타 수당 등을 요구할 경우 당사가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을까요?
- 휴일·휴가고용·노동Q. 근로기간 정함이 없는 단기근로계약이 궁금합니다.1번 빼고 주6일제 시행입니다. 월~금 (8H), 토(7H)
- 임금·급여고용·노동Q. 근로시간에 맞는 임금계산 도와주세요상시근로자5인 이상 사업장입니다.현재 화~일 까지 일하고 격주로 금요일에 휴무일을 갖고있습니다.첫째주 근무시간화 9:00~17:00 7h수 9:00~20:00 10h목 9:00~17:00 7h금 9:00~17:00 7h토 9:00~12:00 3h일 7:00~18:00 10h차주 근무시간화 9:00~17:00 7h수 9:00~20:00 10h목 9:00~17:00 7h금 (격주휴무)토 9:00~12:00 3h일 7:00~18:00 10위와같은 근무시간일 경우 최저시급으로 계산시 임금 얼마일까요??집이 먼데 저런 스케줄 더이상 좀 힘드네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아르바이트 연차계산 및 25년 법정공휴일관련 질문드립니다안녕하세요아르바이트 연차수당 및 법정공휴일 수당관련하여 질문사항있어서 글올립니다.일단 저희 고용형태는 평일 주 4일 7H 6명, 8H 1명 주말 주 2일 7H 8명, 8H 1명 입니다. [5인이상 30인미만]위와 같을 경우 12월 15일부터 3월 30일까지 근무한다고 가정했을 때첫번째 질문으로는 연차의 갯수와 시간계산이 맞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1. 발생하는 연차의 갯수 결론 : 만근일 시 12/15~13/15 1개, 01/16~02/16 1개, 02/17~03/17 1개 총 3개 발생. 평일 전 근무자, 주말 8H 근무자의 연차가 발생한다 주말 7H 근무자는 주 15시간 미만 근무로 연차가 발생하지 않는다.연차시간계산결론 : 8시간 근무자를 통상근무자로 보고 연차 1일당 시간은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7H/4일 근무 시 >> 1 X (28/32) X 8 = 1개당 7H 8H/4일 근무 시 >> 1 X (32/32) X 8 = 1개당 8H 7H/2일 근무 시 >> 해당없음 8H/2일 근무 시 >> 1 X (16/32) X 8 = 1개당 4H 두번째 질문으로는 2025년 법정공휴일 수당 적용에 관한 질문입니다.아래와 같이 알고있는데 틀린점 있으시면 지적 부탁드리겠습니다.24년 12월 25일(수) 크리스마스적용대상 : 평일 근무자 전원(8시간 초과X)적용범위 : 유급휴일수당(1)+ 휴일근로수당(1.5) = 기본급의 2.5배를 적용 25년 1월 1일(수) 신정적용대상 : 평일 근무자 전원(8시간 초과X)적용범위 : 유급휴일수당(1)+ 휴일근로수당(1.5) = 기본급의 2.5배를 적용25년 1월 28~30일 (화~목) 설날적용대상 : 평일 근무자 전원(8시간 초과X)적용범위 : 유급휴일수당(1)+ 휴일근로수당(1.5) = 기본급의 2.5배를 적용25년 3월 1일 (토) 삼일절적용대상 : 주말 8H근무자 (그 외는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근무자)적용범위 : 유급휴일수당(1)+ 휴일근로수당(1.5) = 기본급의 2.5배를 적용이상입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월소정근로시간 계산 및 야근수당 질의 드립니다금: 7h / 토: (35.6/40)*8=7.12h42.72시간 * 4.345주 = 185.6184시간이걸 바탕으로 야근 수당을 계산했을 때, 월급여 3,000,000원인 사람의 야근 수당을 아래와 같이 계산해도 될까요?KRW3,000,000 / 185.6184 = 시간당 16,162원또한 야근수당을 이것보다 더 많이 주는 건 문제가 안 되는 게 맞는걸까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상용직 주말알바 중 일용직 근무시 실업급여현재 상용직으로 주말알바(주2일 7h 씩) 중입니다.2023년 1월에 계약만료로 비자발적 퇴사 예정이고초단시간 근로자로 실업급여 신청하려는데 20일 정도 모자란 상태입니다.상용직으로 일하는 중 지금까지 4곳 단기 알바(행사,학회등)를 했었는데 일용직으로 고용보험 신고가 되어있고 승인처리도 다 된 상태입니다. (총 12일)이 12일을 카운트 해서 180일 넘길 수 있나요??? 아니면 상용직 계약 끝나고 일용직으로 남은 20일을 채워야 하나요?
- 휴일·휴가고용·노동Q. 초과근무 휴게시간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들어서,근로자가 휴일 근무를 09:00~17:00(8h, 휴게시간 포함)로 신청하였습니다.하지만 실제 휴일 근무를 09:00~16:00(7h)로 진행하였습니다.(1) 실제 근무한 시간(7시간)을 기준으로 30분의 휴게시간을 적용하여 6시간 30분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면 되나요?(2) 이미 초과근무신청서에 휴게시간을 1시간으로 기입해두었으니, 실제로는 7시간 근무를 하였어도 1시간의 휴게를 적용하여 6시간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면 되나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알바 퇴직금 수령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모두 8h2월 1일 8h2일 8h4일 8h7일 8h8일 8h 22m9일 8h12일 7h 30m13일 8h 31m14일 8h15일 8h16일 8h19일 7h 30m21일 8h22일 8h 15m23일 8h24일 8h28일 8h3월 1일 8h2일 8h3일 8h7일 8h8일 8h9일 8h 18m15일 8h 13m16일 8h 16m23일 8h28일 8h29일 8h30일 8h4월 4일 8h5일 8h6일 2h 27m11일 8h12일 8h13일 8h18일 8h19일 8h20일 8h5월 2일, 3일, 4일, 9일, 10일, 11일, 16일, 17일, 18일, 23일, 25일, 30일, 31일 모두 8h6월 1일 8h7일 8h8일 8h13일 7h 35m14일 8h15일 8h20일 8h21일 8h22일 8h27일 8h28일 8h29일 8h7월 4일 8h5일 8h6일 8h 31m11일 8h12일 8h13일 8h18일 8h19일 9h 5m20일 8h25일 8h26일 8h27일 8h8월 1일 8h2일 8h3일 8h8일 8h9일 4h 26m10일 8h15일 8h16일 8h17일 8h22일 8h23일 8h24일 8h29일 8h30일 8h31일 8h
- 임금·급여고용·노동Q. 지각 및 조퇴자의 종업시간 이후 근무의 연장수당 지급 여부15:30질의)근로자가 1시간 지각을하고 19:30분까지 연장근무를하게된다면 어떻게 계산해줘야 할까요? 1) 소정근로 8H + 시간외 1H 2) 소정근로 7H + 시간외 2H행정해석이나 관련자료를 근거로 설명해주시면 더욱 감사드리겠습니다.제가 찾아본 자료는 너무 옛날자료라.. 최근내용으로 알아보고 싶어서 글 올립니다# 참고내용종업시간 이후에 근로한 시간에 대하여는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사료됨. (근기 68207-3181, 200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