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아하에서 찾은 279건의 질문
- 대출경제Q. 공무원 부모님 노후 준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연금 관련)구매, (은퇴 이후 감가상각으로 인해 4천 이하로 떨어질 것 같음) > 건보료 영향 x4. 공무원 연금 매달 280만 원5. 퇴직금 7천만 원 / 공제적금 8천만 원6. 어머니 예전에 사업자 10년 유지로 매달 연금 25만 원 정도 수령 예정7. 대출 약 7천만 원-----질문1. 아버지 은퇴 이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건보료 등 세금을 내야 할텐데, 공무원도 임의계속가입자를 할 수 있나요? 1-2. 공무원 연금 280만 원에서 실수령은 어느정도 할 수 있을까요? (현재 건보료 약 29만 원 내십니다.)2. 현재 최대한 빨리 연금저축 펀드를 개설해서 5년을 채우고 이후에 연금으로 수령하는 방법은 괜찮을까요?(퇴직금 + 공제적금도 연저펀으로 넣을 예정)3. 재개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월세 임대 주택은 이후에 재개발이 착수 되었을 때 돈을 더 추가로 내야 하는 것이 부담스러워 처분하려고 합니다. 현재 시세차익이 약 1억 원인데, 자가 + 월세 임대 주택으로 2주택자인 부모님의 양도세는 어느정도나 될까요?'부모님께 직접 물어보면 되지'라는 생각이 드시겠지만, 아버지 어머니 모두 연말정산때 백만 원 단위로 뱉어내시면서 연금저축펀드, irp는 아예 모를 정도로 재테크 분야에 무지하십니다. 그래서 대략적으로라도 답변 부탁드리며, 혹시 제가 질문한 것 외에 더 나은 노후 대비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단시간근로자, 통상근로자에 대해 문의드립니다알고 있습니다저는 5인미만 사업장에서 원장, 알바1, 알바2(본인) 이렇게 근무라고있습니다.알바1, 2의 근무조건은 1주 4시간x4일로 동일합니다.원장은 알바보다 근무시간이 더 깁니다.이 경우에, 원장을 통상근로자로 기준으로 잡아야하고 알바1, 2는 단시간 근로자로 봄이 합당한가요?아니면 알바1, 2는 해당 사업장의 통상근로자 인가요?문의드립니다.
- 법인세세금·세무Q. 법인 대표자 가지급금 인정이자 문의드립니다.3.19가수금 6,000만원 , 가지급금 4,000만원 / 보통예금 1억9.19보통예금 1억 / 가지급금 4,000만원, 가수금 6,000만원인정이자 예산40,000,000 X 4.6% X 6개월 / 12개월 = 920,000원보통예금 920,000 / 이자수익 920,000회계처리가 상기처럼 되는지 궁금합니다.원천징수영수증의 경우 신고를 해야 한다면 어떤 항목으로 신고해야 하는건가요?
- 자동차생활Q. 자동차등록시 차량 모델명(bmw) 질문드립니다.bmw x4 차량을 구매했습니다.모델명은 x4 20i xdrive M sports Pro SE입니다.딜러가 차량등록을 해줬는데그냥 x4 20i 라고만 등록했더라고요.원래 이런건가요? 아니면 뒤에 모델명을 더 적을 수 있는데안적어도 괜찮아서 안적은건가요?세부모델명에 따라서 중고파 판매시 가격이 천차만별이고x drive와 x drive M sports PRO 의 가격차가천 만원 이상 차이나서 질문합니다.차랑 재판매시 얘기가 나올까봐 걱정되네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단시간 근로자 퇴직금 산정방법 무급휴가기간안녕하세요단시간 근로자 퇴직금 산정 방법에 대해 문의드립니다.#주 소정근로시간(4시간x4일) 16시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5인 미만 사업장#근로기간은 2023.03~2025.08 입니다#근로기간중 개인적인 사유로 3번정도 2~3주 정도의 무급휴가로 출근하지 않았습니다.(허가받음)1. 퇴직금 계산 시에 총 근로 일수 계산 시 무급휴가 기간을 제외하여야 하나요?2. 단시간 근로자는 퇴직금 산정 시에 근로시간이 4주 평균하여 15시간 이상인 주만 퇴직금 산정기간에 포함된다고 알고있는데요, 제 경우에 무급휴가 기간이 있는 달은 퇴직금 산정기간에서 빼야하는 건지 문의드립니다.아니면, 실 근로시간이 아닌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무급휴가 기간을 빼지 않고 산정해도 되는 것인지 문의드립니다.3. 단시간근로자라도 스케줄제가 아닌 소정근로시간이 정해져있는 경우에 무급휴가 기간을 제외하지않고 퇴직금 계산기에 입사일과 퇴직일을 넣어서 총 근로기간으로 퇴직금 계산하면 되는 것일까요?
- 증여세세금·세무Q. 부모 자식간 돈거래 증여세 과세 여쭤봅니다어머니께서 제 명의로된 아파트에 살고 계셨는데이번에 제 아파트를 매도하고 어머니 이름으로 아파트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어머니 명의 아파트 구매할 돈을 보내드리려고 하는데 얼마까지 돈빌려주면 증여세가 안나오나요?제가 알기로 2억1700만원까지는 증여세 발생 안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맞나요?만약 제가 2억을 빌려드리면 차용증을 따로 작성 안해도 되나요?아래 내용은 제가 인터넷에서 찾은 내용입니다(1) 과세기준금액무상으로 대출받거나 적정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로 대출받은경우로써 증여재산가액이 1천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습니다.(상증법 41의4 ①, 상증령 31의4 ②)따라서 2억1700만원 까지는 적정이자가 1천만원 미만이 되기 때문에 증여세가 과세되지않습니다.217,000,000 X 4.6% = 9,982,000
- 임금체불고용·노동Q. 근로 계약서 미작성 시 휴게시간 다툼 문의안녕하세요. 주 소정근로시간이 16시간(4시간x4일)인 근로자입니다. 근로계약서 작성하지 않았습니다.임금은 시급으로 지급받았습니다.1. 실제로 휴게시간이 없었는데요, 사업주가 휴게시간이 30분이 있었고 30분에 대한 임금을 제외하지 않고 지급한 것 이다. 라고 주장할 수 있나요?2. 하루 4시간 근로이지만 3시간 30분 근로였다고 주장하며 주 소정 근로시간이 14시간이라고 주장할 경우저는 어떤 증거로 대응해야하는지 문의드립니다.
- 휴일·휴가고용·노동Q. 5인 미만사업장 법정공휴일 미출근 시 주휴수당안녕하세요 주휴수당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단시간근로자 4일x4시간 근무 조건1.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법정 공휴일은 무급휴일이라고 알고있습니다. 저의 소정 근로일이 월~목 일 때월요일이 법정공휴일이라 출근하지않고, 화,수,목 출근했을 경우에 해당 주는 주휴수당이 발생하나요?제 경우에 5인 미만 사업장에서는 법정공휴일이 유급휴일이 아니므로 법정공휴일 하루를 빠지고 3일 출근 시 근로시간이 12시간이 되어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 임금·급여고용·노동Q. 주휴수당 계산 문의 부탁드립니다!!!!!1. 주4일 하루7시간 씩 주15시간이 넘어요. 주휴수당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7시간 x4.345 를 해야할지8시간x4.345를 해야할지 모르겠어요2. 다른 파트 알바가 주 3일 수요일 5시간 목요일6시간 금요일7시간 일을 했고 3일 일한 주에 공휴일이 하루 껴있어서 가게문을 닫았어요. 주휴수당은 줘야할까요??주휴수당을 줘야하면 7시간 기준에 맞춰서 계산을 해야할까요???
- 임금·급여고용·노동Q. 월 소정근로시간 질문드립니다!!!법정근로시간 40시간 초과해서 40시간 확정2. 주휴시간은 1주 소정근로시간 40시간이므로 8시간을 인정하므로 8시간3. (40+8) x 4.345 = 209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