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육아휴직을 쓸수있는조건이되는지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육아휴직은 만 8세가 끝나기 전까지 또는 초등학교 2학년의 2월말까지 개시하면 됩니다. 신청은 개시 전 30일 전에 해야하므로 생일 전날 이전 30일 전까지 신청서를 회사에 접수해야 합니다.정부지원금은 "육아휴직 급여"라고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고용24 등 국가 자료를 보시는 것이 제일 정확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5.06.25
0
0
프리랜서 실업급여 4대보험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사장의 주장은 도의적(?) 주장을 하는 것이고, 법적으로는 근로자 9.4% 사업주 10.4% 정도를 부담합니다. 구분되어서 고지서가 나오니 근로자는 고지서에 적힌 금액만 납부하면 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5.06.25
0
0
관리원으로 알바했는데 급여 지급 날짜가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시행처에 따라 다르고 담당자에 따라 다릅니다. 이걸 임금으로 생각하지 않고 그냥 시험수당 뭐 이런 생각으로 하므로 정리가 되는대로 지급하거나, 여러 건이면 묶어서 하느라 한달에 한번 이렇게 하기도 할 것입니다. 결국, 전화해서 물어보거나, 모집공고에 적혀 있는지를 확인하는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25
0
0
장거리 통근으로 인한 실업급여 신청 가능한가요 ?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장거리 근무는 보통 1달 이내에 퇴사를 해야 인정을 해주는데, 본인의 사정을 고용센터에 상담을 해보세요. 꼬투리잡아 안 해줄수도 있고, 동생의 원룸계약 종료 등 이사 등 증거 제출하면 해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점은 고용센터 담당자의 해석과 재량이 작용을 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25
0
0
정신병원 입원으로 무단결근 중인 직원의 해고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퇴직금은 지급해야 할 듯합니다.바로 해고통보를 하기 보다는, 출근명령과 출근이 어려우면 사직서를 제출하라는 내용의 내용증명을 먼저 보낸 후 최종적으로 해고 통보를 하는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고용·노동 /
해고·징계
25.06.25
0
0
직원에서 대표될경우 퇴직금 지급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진짜 공동대표인지 명의만 빌린 것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진짜라면 퇴직금 지급하고 동업자가 되는 것이고, 명의만 빌린 것이면 여전히 근로자로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합니다. 질문자가 근로자라면 이 점을 명확히 확약 받아 두는 것이 좋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25
0
0
노무사 시험질문입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그렇습니다. 다만, 아직 준비가 안 되었더라도 시험을 한 번 쳐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격증 /
공인노무사 자격증
25.06.25
0
0
6개월 계약직 고민되는데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6개월 계약직을 최저임금을 받고 4시간 거리에까지 가서 할 필요가 있을지는 곰곰히 생각을 해보셔야 할 듯합니다. 자칫 회사가 마음에 안 들면 월세 구한 것도 문제가 될것이고, 기숙사를 제공한다면 기숙사 비용도 토해내라고 할 수 잇습니다. 또한, 6개월 계약만료면 실업급여도 안 됩니다. 웬만큼 좋은 포지션이 아니라면 신중하게 판단해야 되겠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25
0
0
해고예고수당 신청방법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일단 해고통지서를 받거나, 이에 준하는 문자, 카톡, 녹취 등 증거를 확보하였다면, 퇴사할 때까지 청구하지 마시고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섣불리 달라고 하면 해고 취소를 하고 30일 더 일하라고 할겁니다.5인 이상 사업장이면 위 증거가 있다면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가능합니다. 이 또한 섣불리 하지 마시고 천천히 언제 하는 것이 좋을지 전문 상담을 해 본 후 결정해도 늦지 않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25
0
0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기본급을 연장근로수당으로 변경하였을때 그냥 싸인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질문자님의 우려대로 연차수당과 퇴직금(이건 좀 다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즉, 기본급이 줄고 연장수당이 늘면, 통상임금(시급)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그냥 싸인하면 효력이 발생하므로 싸인을 거부해야 할 것입니다. 문제는 혼자 싸인 거부하면 버틸 수 있냐는 문제입니다. 이론적으로는 거부하고 고용노동부 신고하는 등 절차를 거칠 수는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5.06.25
0
0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