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연차수당 계산시 지급기준일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회사에서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부여하고 있다면 퇴사시 정산할 때 회계연도 기준과 입사연도 기준을 비교를 먼저 해봅니다.회사에 다른 특별한 규정 ( 예를 들어 퇴사시 연차 정산은 입사연도 기준으로 한다 등)이 없다면 회계연도와 입사연도 중 유리한 것으로 정산 하면 됩니다.특별한 규정이 있다면 그에 따르면 되나 입사일 기준 이상은 지급 받아야 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5.23
0
0
월 만근 연차 발생일(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23년 3월 3일 입사의 경우 근로관계가 적어도 23년 3월 3일까지 계속되어야 월만근 연차가 발생합니다.3월 2일 마지막근무를 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습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3.05.22
0
0
몇 시간 이상 일 할때 휴식시간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상 휴게시간은 4시간에 30분이상 근로시간 도중에 지급하여야 합니다.따라서 4시간 일하신다면 30분을, 8시간 일하신다면 1시간을 휴게시간으로 부여받아야 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5.22
0
0
휴식 시간도 급여를 주나요??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원칙적으로 휴식시간은 휴게시간으로 근로시간이 아닌 것으로 봅니다.따라서 휴게시간에 대한 임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회사내 규정으로 휴게시간에 대한 임금도 지급한다고 한다는 내용이 있다면 지급하여야 할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5.22
0
0
4대보험 원치않는 직원말 들어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원칙적으로 근로자로 고용하여 사용하게 된다면 4대보험은 가입하여야 합니다.근로자가 원하지 않아 4대보험을 가입하지 않는다면 추후 산재 발생, 실업급여, 지역가입자 건강보험 등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측에서는 그동안 내지 않았던 보험료를 소급하여 내게 되며 지연 신고 등으로 인한 처벌을 받으 실 수도 있습니다.사정이 조금 여유가 있으시다면 4대보험 가입을 할 근로자를 채용하시어 근로시키는 것을 고민해 보시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산업재해
23.05.22
0
0
해고사유가 통보할 때와 노동위서 답변할 때 서로 다르다면?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노동위원회에서 사측이 해고 사유를 사실과 다르게 주장하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이럴 경우 해고사유를 사실과 다르게 주장했다는 증거를 제출하셔야 할 듯 합니다.만약 증거가 없다면 가사 변경된 해고사유라 하더라도 해고는 부당하다고 주장해 보셔야 할 듯 합니다.가까운 노무사를 찾아가 상담 후 진행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해고·징계
23.05.22
0
0
안녕하세요 부당해고 신청은 언제까지 해야하나요? (기간문의)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해고를 당하고 3개월 이내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하여야 합니다.부당해고 구제신청은 고용노동청이 아닌 지방노동위원회에 접수하여야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3.05.22
0
0
입사 1년 후 연차 발생 조건?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상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5.22
0
0
주말 출근에 대한 수당지급 관련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이사를 하는 것이 사용자의 지휘 감독 하에 이루어 진 것이라면 근로시간으로 볼 수 있어 근로시간에 따른 수당을 추가적으로 회사에서는 지급하여야 합니다.해당 이사가 근로시간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3.05.22
0
0
근로계약서 요구를 하지 않아 근로계약서 작성을 안했다면 처벌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근로계약서는 원칙적으로 근로를 제공하기 전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작성합니다.근로자가 근로계약서 작성에 대하여 말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근로계약서 작성 및 교부의무를 부담하고 있어 만약 근로계약서 미작성 및 미교부가 맞다면 근로자의 행동과 관련 없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체불
23.05.22
0
0
847
848
849
850
851
852
853
854
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