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음식 칼로리 사람마다 다른 이유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이 필요로 하는 하루 열량의 영양소 섭취 비율은 대략 탄수화물 55~65%, 단백질 7~20%, 지질 15~30% 정도 이고비타민류, 각종 미네랄 성분이 필요합니다.전체 섭취 칼로리 중 탄수화물이 절반 정도 되도록 식단을 편성하는 것이 건강유지에 매우 좋습니다.다이어트 하더라도 식단은 위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율 대로 식단을 구성하여 섭취하되 체중을 줄일 목적 이라면 하루 필요 열량보다는 적게 섭취하고 기초대사량 보다는 약간 많게 섭취한다면 체중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루 필요 열량이 2,500 kcal이고 기초대사량은 1,500kcal라고 가정할 때 살을 빼기 위해서는 하루 1,800~2,300kcal정도만 섭취하면 될 듯 합니다. 빨리 살을 뺄 목적으로 기초대사량 이하로 섭취할 경우는 건강을 해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야채없이 고기만 먹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가요?
안녕하세요. 강형봉 영양전문가입니다.고기와 야채는 궁합이 잘 맞을 뿐만 아니라 서로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주기 때문에 같이 드셔야 합니다.같이 드시는 것이 좋은게 아니라 무족건 같이드셔야 합니다.고기만 먹게 되면 섬유질이 부족하여 변비나 소화불량이 유발되고 비타민이나 미네랄 성분이 부족하게 됩니다. 그리고 중성지방이나 안좋은 LDL-콜레스테롤을 높게 만든답니다.야채와 함께 먹으면 변비 예방과 중성지방과 나뿐 LDL-콜레스테롤을 나출 수 있다고 합니다.고기와 깻잎은 궁합이 잘 맞는 음식입니다 고기에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깻잎은 양질의 셤유소와 비타민, 칼슘, 철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고기를 많이 먹었을 때 깻잎을 먹으면 도움이 됩니다.돼지고기와 깻잎의 궁합이 좋고요.소고기도 좋습니다.단백질이 주성분인 소고기의 부족한 칼슘, 비타민A, 비타민C를 깻잎이 보충해 줍니다. 깻잎의 철분은 소간과 맞먹을 정도로 충분히 들어있어 영양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음식이지요.또한, 쇠고기를 참기름에 찍어 먹으면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남지 않도록 도와줘 좋습니다.궁합이 잘 맞게 음식을 먹으면 아래와 같이 건강에 도움을 받습니다○ 게-우유 뼈~~~ 구성에 효과○ 고기-들깻잎~~~ 항암효과○ 냉면.녹즙 -식초~~~영양,위생에 효과○ 닭고기-인삼~~~ 스트레스 감소효과○ 돼지고기-표고버섯~~~ 혈압조절,누린내 제거○ 두부-생선~~~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떡-무~~~ 소화를 돕는다.○ 미꾸라지-산초~~~ 시력회복○ 북어-미나리~~~ 북어의 독을 약화○ 선지-우거지~~~ 단백질,식이섬유의 배합○ 쌀-쑥~~~ 섬유소,칼슘,철 보완○ 아욱-새우~~~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보완○ 오징어-땅콩~~~ 혈중 콜레스테롤치 저하○ 죽순-쌀뜨물~~~ 잡맛 제거,맛을 부드럽게 함○ 찹쌀-대추~~~ 철분,칼슘,섬유질 보충○ 커피-치즈~~~ 위벽과 소화기관을 보호그러나 궁합이 잘 안 맞는 음식도 많습니다.아래는 궁합이 잘 안 맞는 음식입니다소고기와 부추소고기와 부추도 궁합이 맞지 않는 음식 중 하나랍니다. 둘다 뜨거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열이 많은 사람이 먹으면 두통과 소화불량이 생길수 있는데요. 특히 위장이 약한사람은 위염도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부추대신 다른 채소를 곁들이는 것이 좋습니다.장어와 복숭아모든 분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한 장어와 복숭아 조합 또한 궁합이 맞지 않는 음식인데요. 복숭아의 신맛을 내는 유기산이 장을 자극해 장어의 지방이 소화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같이 섭취하게 되면 무한설사를 유발 시킨다고 해요. 힘든 시간이 될수 있기 때문에 같이 먹거나.. 먹고나서 후식으론 피해야 겠죠?돼지고기와 도라지기침, 천식에 좋은 도라지는 돼지고기와 함께 먹으면 그 효능이 반감되구요.그 외에도○ 게-감~~~ 소화불량.식중독○ 김-기름~~~ 기름의 산화로 유해물질 발생○ 당근-오이~~~ 비타민C 파괴○ 도토리-감~~~ 소화 흡수율 저하○ 미역-파~~~ 맛과 흡착력 약화○ 바지락-우엉~~~ 철분 흡수 저하○ 선지-홍차~~~ 철분의 이용도 저하○ 시금치-근대~~~ 신석증,담석증 유발가능○ 오이.당근-무~~~ 비타민C 파괴○ 장어-복숭아~~~ 설사유발○ 커피-프림~~~ 클레스테롤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