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25% 무난한 건가요? 아니면 과중하다고 해석하는가요?
트럼프 정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상호관세계산식은특정국가i에대해관세율τi를부과할때,관세율변화(∆τi)가수입에미치는 영향을수식으로 표현하였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하면 "각국의관세,규제,세금및기타정책이무역수지에미치는영향을개별적으로계산하는것은 복잡할수있으나,이러한정책의전체효과는양자무역적자를0으로만들기위해필요한관세 수준(tarifflevel)을추정하여근사적으로파악할수 있다고언급"하였습니다. 다만 USTR상호관세율계산은겉보기엔과학적·수학적근거가있어보이지만,실제무역통계나경제 이론과동떨어져있다는점에서심각한문제로지적된다는의견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도출된 세율 자체에 대하여 과중하거나 적정하다고 하는 판단이 무리일것으로 보입니다.
Q.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캐나다,맥시코,중국에게 관세정책을 실시 했는데요 미국안에서도 반발이 많고 캐나다,맥시코,중국도 다 불만인데 관세때문에 전쟁 날까 걱정됩니다 이런데도 왜 계속
트럼프 정부의 발표 상으로 는 임기중에는 계속하여 부과 할 것이라는 의지가 담겨 있어 짧은 시일내 부과 관세의 철폐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 됩니다. 다만 관세 부과로 인하여 미국 내부의 물가 변동과 상대 국의 반응에 따른 무역조치 등이 세계적인 경제위기를 초래 할 수 있다는 것은 공통된 의견으로 보입니다. 예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는 "부당하다"며 미국 자동차에 25% 보복 관셰를 부과할 것이라고하는 만큼 여러 국각의 대응 조치들이 트럼프 정부에게 압박으로 작용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수출 주력 품목인 자동차 , 부품, 반도체에 대한 타격이 클것이고 상호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경쟁력에도 큰 타격이 뒤따를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