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수중에 해운운임 지수란 무엇인가요?
해운운임지수는 국제해운운임지수와 국내 해운운임지수가 있습니다.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의 설명에 따르면 국외해운운임지수는 아래와 같이 SCFI, CCFI, BDI가 있다고 합니다. ※ SCFI :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는 상하이거래소(Shanghai Shipping Exchange: SSE)에서 2005년 12월 7일부터 상하이 수출컨테이너 운송시장의 15개 항로의 스팟(spot) 운임을 반영한 운임지수이다. 기존에는 정기용선운임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2009년 10월 16일부터는 20ft 컨테이너(TEU)당 미달러(USD)의 컨테이너 해상화물운임에 기초하여 산정하고 있다. 운송조건은 CY-CY조건이며 컨테이너의 타입과 화물의 상세는 General Dry Cargo Container로 한정짓고 있고, 개별항로의 운임율은 각 항로의 모든 운임율의 산술평균이며 해상운송에 기인한 할증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다. 운임정보는 정기선 선사와 포워더를 포함한 CCFI의 패널리스트들에게 제공받고 있다.※ CCFI : 중국컨테이너운임지수는 중국 교통부가 주관하고 상하이 항운교역소가 집계하는 중국발 컨테이너운임지수로 1998년 4월 13일 처음 공시되었다. 세계컨테이너시황을 객관적으로 반영한 지수이자 중국 해운시황을 나타내는 주요 지수로 평가받고 있다. 1998년 1월 1일을 1,000으로 산정하며 중국의 항구를 기준으로 11개의 주요 루트별 운임을 산정하며, 16개 선사의 운임정보를 기준으로 매주 금요일에 발표를 하고 있다.※ BDI : 발틱운임지수는 발틱해운거래소에서 1999년 11월 1일부터 사용되었으며 1985년부터 건화물(dry cargo)의 운임지수로 사용이 되어온 BFI(Baltic Freight Index)를 대체한 종합운임지수로 1985년 1월 4일을 1,000으로 산정하여 선박의 형태에 따라 발표하고 있다. 선형에 따라 Baltic Capesize Index(BCI), Baltic Panamax Index(BPI), Baltic Supramax Index(BSI), Baltic Handysize Index(BHSI)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BDI는 이러한 선형별 정기용선의 4가지 지수를 동일한 가중으로 평균을 산출한 다음 BDI factor를 곱하여 산출하고 있다.그리고 국내해운운임지수는 기업이 세관에 수출입 신고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운임정보를 화물정보와 연계하여 컨테이너 당 평균 수출입 운송비용을 산출·공표하는 통계로서, 수출입 기업·물류업계 등에서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한것으로 제공된다고 합니다.
Q. 근원물가지수란 무엇이고, 일반물가지수와 무엇이 다른것인가요?
근원물가지수는 일시적 외부 충격에 의해 물가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한 지수로서, 장기적이고 기초적인 물가추세를 살펴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통계청은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와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라는 두 가지 근원물가지수를 공표하고 있습니다.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OECD 기준의 근원 물가로서 식료품 및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하고 작성한 지수입니다.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곡물 제외 농산물, 도시가스,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하고 작성한 지수입니다.